안성시가 전국 처음으로 38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18만 전 시민에게 시내버스 승차비를 무상 지원하는 교통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19일 안성시에 따르면 시는 시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통한 교통서비스 질을 높이고 경제적 부담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전 시민 무상교통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내년부터 1단계로 7억8천여만원을 들여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교통비를 지원하고 2025년까지 4단계에 걸쳐 전 시민 교통비 지원에 나선다.
2단계는 6세 이하를 제외한 7세 아동부터 18세 청소년까지, 3단계는 사회적 약자 만19세부터 23세 청소년까지, 4단계는 만 24세부터 64세 중장년 등이 대상이다.
지원은 분기별 사용 금액을 카드발급 시 등록한 계좌로 현금 지급한다.
대상자는 안성 관내와 관외까지 버스이용금액을 지원하지만, 타 시·군에서 버스를 승차해 안성에 하차할 경우는 지원받을 수 없다.
하지만 지난 8월 시의회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전 시민 무상교통 단계별 시행 조례안을 부결시킨 상황이어서 무상교통 정책이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시는 김보라 시장의 핵심 공약 사항인 만큼 내년에 대중교통 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무상교통을 단계적으로 필히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한무모 가정 등 1만1천여 명의 사회적 약자들은 이번 무상교통비 지원을 상당히 반기고 있는 상황이다.
H씨(72)는 “그동안 코로나 19로 힘들었던 시기에 정부가 소상공인에게 재난 지원금을 지원했다면 이번에는 시민들의 발이 되어주는 버스 이용 금액을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덜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라 시장은 “안성 시민들이 자유롭고 편안하게 관내와 관외 이동권을 보장해 주는 것은 행정의 또 다른 책임이 있다고 본다.”며“이제는 시민들의 삶 질을 높이는 데 행정과 정치인들이 앞장서야 한다”라고 밝혔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