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요원 인력충원 맞춤 지원, 심리진단 등 정신건강도 보살펴
경기도가 ‘자립준비청년’ 사후관리에 미흡하다는 비판(경기일보 9월26일자 3면)을 받는 가운데 문제 해결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자립전담요원의 인력충원은 물론 자립준비청년들의 심리안정을 돕는 신규 사업을 통해 보다 촘촘한 지원을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른 시일 내 ‘(가칭)은둔형 아이들 관련 전담요원’을 신규 배치하고, ‘자립전담요원’ 12명을 충원할 예정이다.
먼저 도는 연락이 닿지 않는 자립준비청년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관리에 들어가 적재적소에 맞는 일대일 지원 서비스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사각지대에 속했던 해당 청년들 역시 학원비, 의료비, 주거지원비 등 개인의 상황에 맞는 도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도는 ‘자립준비청년 마음건강 상담지원’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당 청년의 이야기를 듣고 세심한 서비스를 지원,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마음건강 지원 사업이 시행될 경우 심리진단·심리상담서비스와 함께 자립지원정보 등 다양한 혜택이 자립준비청년들에게 돌아간다. 특히 도는 폭넓은 지원을 위해 지원 대상을 ‘퇴소 시부터 30세까지’로 지정했다.
아울러 도는 올해 처음 시행한 통합지원서비스(일대일 맞춤형 관리) 지원 대상의 정원 240명 중 123명이 미달된 만큼, 추가 선발을 통해 예외 없는 정책지원을 제공한다. 자립전담기관 대표번호로 전화만 하면 해당 서비스는 물론 필요한 정보와 정책지원 제공이 가능하다.
도 관계자는 “자립정착금, 자립수당, 아동발달지원계좌 등 도내 자립준비청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제도들을 마련했다”며 “도 자립전담기관이 올해 처음 법적 아동 시설(이용시설)로 지정돼 국가 차원의 대응까지 가능해졌다. 이를 힘입어 도 역시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지원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손사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