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천억원 투입 5~600개 세부사업 추진
고양특례시가 글로벌 자족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4대 핵심 일자리 청사진을 내놓았다.
고양시는 민선 8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연계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지역일자리 목표공시제는 고용정책법 제9조에 의해 지방자치단체장이 해당 지역의 주민들에게 일자리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는 지역고용 활성화 정책이다.
시는 고용률 68.5% 달성을 목표로 정하고 직접 일자리, 직업능력개발훈련 및 일자리 인프라 구축 등 분야별 대책 마련을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섰다.
고양시의 올해 상반기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1%포인트 증가한 67.3%다. 코로나에 대응해 재정일자리 주도로 고용률이 상승한 고양시는 민선 8기에는 공공 주도의 재정일자리는 효율화하고 민간 주도의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민선 8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이와 연계한 바이오 정밀의료 분야, 방송영상산업· 마이스산업, 지식재산권(IP)산업 등 전략산업·첨단산업 분야 생태계 조성으로 미래 먹거리 창출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는 ▲고양 최적형 일자리 거버넌스 구축 ▲경제자유구역 연계형 일거리 창출 ▲시민 모두가 만족하는 균형 일자리 ▲지속가능 일자리를 위한 여건 조성을 4대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한편 시는 매년 6천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500~600개의 세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자족시설 확보를 위해 공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고용이 안정된 양질의 일자리 도시, 글로벌 자족도시 고양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양=권순명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