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PM(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 수가 PM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주차장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경기일보 13일자 7면)에 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민관 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개인형 이동장치 시범지구 및 전용 주차시설 설치사업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PM의 안전한 이용에 관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겠다고 26일 밝혔다.
합동 협의체는 도를 비롯해 도의회, 도교육청, 경기남‧북부경찰청, 경기교통공사, 수원시정연구원, 한국PM산업협회, 도내 공유PM업체 등으로 구성되며 내년 1월 중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는 이달 초 20억원을 투입한 개인형 이동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및 전용주차시설 조성이 끝난 만큼 후속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앞서 도내 PM 수 대비 주차장이 적어 보행도로 곳곳에 PM이 방치되면서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도가 이달까지 부스‧거치형 PM 주차시설 총 227개를 설치했지만, PM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전용주차시설 1곳당 150대가 넘는 PM을 수용해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민관 합동 협의체를 통해 시범지구 및 주차시설을 운영하면서 체계적인 주‧정차 관리 대책을 세우고, 시민들의 보행 불편사항 등을 파악해 추후 사업을 확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공유PM업체 등 민간부문에서도 도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속에서 안전이용 활성화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박래혁 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개인형 이동장치 시범지구를 몇 개월간 운영하면서 안전한 이용을 위한 추가 대책의 필요성을 느꼈다”며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도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힘 쓰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