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경기일보 보도, 그 후] 턱없이 부족한 PM 주차장 지적에…경기도, PM이용 종합대책 수립
경기일보 보도, 그 후

[경기일보 보도, 그 후] 턱없이 부족한 PM 주차장 지적에…경기도, PM이용 종합대책 수립

image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전용 주차 공간. 경기일보DB

 

경기도내 PM(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 수가 PM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주차장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경기일보 13일자 7면)에 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민관 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개인형 이동장치 시범지구 및 전용 주차시설 설치사업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PM의 안전한 이용에 관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겠다고 26일 밝혔다.

 

합동 협의체는 도를 비롯해 도의회, 도교육청, 경기남‧북부경찰청, 경기교통공사, 수원시정연구원, 한국PM산업협회, 도내 공유PM업체 등으로 구성되며 내년 1월 중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는 이달 초 20억원을 투입한 개인형 이동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및 전용주차시설 조성이 끝난 만큼 후속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앞서 도내 PM 수 대비 주차장이 적어 보행도로 곳곳에 PM이 방치되면서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도가 이달까지 부스‧거치형 PM 주차시설 총 227개를 설치했지만, PM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전용주차시설 1곳당 150대가 넘는 PM을 수용해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민관 합동 협의체를 통해 시범지구 및 주차시설을 운영하면서 체계적인 주‧정차 관리 대책을 세우고, 시민들의 보행 불편사항 등을 파악해 추후 사업을 확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공유PM업체 등 민간부문에서도 도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속에서 안전이용 활성화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박래혁 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개인형 이동장치 시범지구를 몇 개월간 운영하면서 안전한 이용을 위한 추가 대책의 필요성을 느꼈다”며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도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힘 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