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지붕 없는 박물관’ 북한산성 대대정비…행궁 디지털 복원

고양특례시가 북한산성에 대한 대규모 정비에 나선다. 사진은 북한산성 전경. 고양특례시 제공

 

고양특례시가 31억원을 들여 북한산성에 대한 대규모 정비에 나선다.

 

임시궁궐인 행궁은 디지털 영상 등을 통해 원형 복원도 추진된다.

 

20일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북한산성은 1711년(숙종 37년) 높고 험준한 북한산 11.6㎞ 구간에 돌로 쌓은 성곽으로 서울 한양도성과 탕춘대성 등과 연결돼 수도방어기능을 담당했다. 성곽 내부에는 북한승도절목과 산영루 등 문화유산 9곳과 중흥사를 비롯한 전통사찰 8곳이 산재했다.

 

시는 이에 따라 올해 약 27억원을 들여 여장(성 위에 낮게 쌓은 담) 550m와 수문 성벽 1곳, 초소용 성루 6곳, 행궁터, 배수로 등을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된 북한산성 관성소지 및 상창지 문화재 구역에선 4억원을 들여 발굴조사도 진행된다.

 

image
고양특례시가 31억원을 들여 북한산성에 대한 대규모 정비에 나선다. 사진은 북한산성 전경. 고양특례시 제공

 

1915년 홍수로 건물터만 남은 임시궁궐인 행궁 복원에 긴 시간이 필요한 점을 감안해 우선 디지털 영상으로 원형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북한산 중턱에 건립된 행궁은 임금이 머무는 내전, 집무를 보는 외전, 내부 부속 건물 등 129칸으로 구성됐다.

 

또한 조선과 중국을 잇는 의주길 객사(客舍)로 양국 외교의 상징 건물인 벽제관도 3D 스캔으로 옛 모습을 재현하기로 했다.

 

6·25전쟁 당시 소실된 벽제관은 2021년부터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가 시작돼 서쪽 담장 터와 동쪽 건물지 등이 확인된 상태다.

 

시 관계자는 “북한산성은 남한산성과 함께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다. 올해 대대적인 정비를 통해 ‘지붕 없는 박물관’인 북한산성 복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