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소각장 6개 마을 주민, 쓰레기 문제 해결해 달라 호소

안성시 소각장. 경기일보DB

 

생활쓰레기 반입 거부와 소각장 80t 증설 전면 백지화를 공언(경기일보 21일자 5면)한 안성시 자원회수시설 주민협의체가 쓰레기 문제를 해결해 달라며 안성시민을 향해 호소하고 나섰다.

 

협의체는 21일 호소문을 통해 “가정과 사무실,아파트,상가,시장 등에서 배출하는 생활쓰레기를 올바르게 분리해 배출해 달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현재 소각장은 안성시민 여러분이 버린 쓰레기를 보개면 북좌리 소각장에서 태워 처리하고 있는 만큼 소각용 종량제 봉투에만 쓰레기를 넣어 달라”고 밝혔다.

 

이어 “만 3년이나 초과한 소각장을 운영하면서 복평리, 오두리, 남풍리 상남 등 6개 마을 주민들은 불안하고 생존권을 위협 받는 상황에 처해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시민들이 버리는 소각용 봉투 속에 비닐과 플라스틱, 캔, 유리, 우유팩, 음식물, 매립용 쓰레기 등이 심각하게 혼재된 쓰레기가  60% 이상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의체는 “현재 소각장으로 반입하는 불법 쓰레기로 소각장이 안정적으로 운영이 안돼 최근 갑자기 가동을 멈추는 일이 벌어졌다”는 입장도 밝혔다.

 

쓰레기 반입을 중지시켜서가 아니라 요즘 쓰레기 문제로 불편을 겪는 상황에서 소각장 인근 주민들에게 오해가 있는 것 같아 올바른 정보를 알리겠다는 입장이다.

 

협의체는 “소복을 입고 소각장을 반대했던 2005년 시절이 무려 18년이 지났다”며 “내구 연한이 3년 지난 소각장이 현재까지 쓰레기를 태우고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주민의 기본 생존권인 건강을 위협 받는 쓰레기를 소각하면서 발생하는 중금속 다이옥신에 매우 민감하고 불안한 점을 시민들이 이해해 달라는 입장이다.

 

협의체는 “소각장 노후화로 장기간 운영에 따라 단순 개·보수로 안정적인 시설 장기운영은 불가능하다는 한국환경공단 기술용역 결과가 나왔다”며 “절대 이기주의가 아닌 안성시 전체 쓰레기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협의체는 환경교육센터 설치에 따른 재단법인 운영 협의 후 80t 소각장 증설에 대해 협약서를 체결했으나 약속 불이행으로 협약서의 모든 내용을 전면 무효화하고 50t 소각장을 안정적으로 운영관리 한다는 입장을 재차 표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