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소각장 주민협의체 "협약 미이행 시 운영 중단할 것"

안성시 자원회수시설 주민협의체가 24일 오전 10시 시청 민원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종량봉투에 담긴 생활쓰레기를 파봉해 미 분류된 비닐과 알루미늄 음료캔 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박석원 기자

 

환경교육센터 재단설립 운영과 직영 운영을 놓고 안성시, 안성시의회와 갈등을 빚고 있는 안성시 자원회수시설 주민협의체(이하 주민협의체)가 쓰레기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호소문(본보 22일자 5면)을 발표한 가운데 '소각장 운영 중단'이라는 폭탄 선언을 하고 나섰다.

 

주민협의체는 24일 오전 시청 민원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시와 시의회가 지난 2020년 9월 주민협의체와 합의한 내용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주민 건강과 삶을 위해 가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주민협의체는 “소각장은 2005년부터 운영을 시작, 현재 가동 18년째로 내구연한이 이미 만 3년이 지났다"면서 "현재처럼 성상별 구분 없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생활폐기물이 소각장에 반입되는 것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보개면 6개마을 지역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소각장을 더 이상 가동하는 것은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삶을 송두리째 빼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주민협의체는 “우리 주민들은 안성시민으로서 안성시 쓰레기 처리 문제를 대의적인 측면에서 합의하고 안성시, 시의회와 협약서를 체결했음에도 협약서에 재단 설립이라는 문구가 없다는 것을 핑계로 직영으로 운영하다가 재단을 설립하겠다는 시의회의 주장이 무엇인지 의심스럽고 개탄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들은 소각장 운영을 직영이나 위탁방식이 아닌 전문성과 투명성을 갖춘 재단으로 운영할 것을 촉구했다. 

 

주민협의체는 기술진단 결과, 소각장 내구연한 초과로 운영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무분별한 생활쓰레기 유입을 막기 위해 시민환경교육을 전담할 교육센터 설치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민협의체는 시, 시의회를 향해 협약 이행, 재단법인 설립을 위한 조례 제정 및 승인,  소각용 쓰레기의 소각장  반입 등을 재차 요구했다. 

 

주민협의체는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내구연한이  3년 지난 소각장 운영을 즉각 중단할 뿐 아니라 시, 시의회에 체결한 '80t 증설 협약'을 전면 백지화 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앞서 시와 시의회, 주민협의체는 지난해 9월 보개면 북좌리 일대에 356억원을 투입, 1일 80t규모의 연속 연소식 소각장 증·신축 건설에 대해 상호 합의했었다. 협약 당시 주민협의체는 소각장 증설에 따른 전문 인력 영입 등을 통한 환경교육센터 재단설립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시의회가 재단 설립에 제동을 걸고 나서자 갈등을 빚어왔다. 여기에 음식물, 플라스틱 등 비소각용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반입, 소각되면서 주민협의체는 환경 오염물질 배출로 인근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