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지역 정치권 쓰레기대란 왜곡된 정쟁 비화 논란

안성지역 쓰레기대란 관련 환경교육에코센터 건립·운영을 놓고 지역 정치권이 문제해결을 뒤로한 채 SNS로 난타전을 벌여 빈축을 사고 있다. 사진은 환경교육 에코센터조감도. 안성시 제공

 

안성지역 쓰레기대란 관련 민주당 안성지역위가 여당 시의원들에게 주민불편을 가중시키지 말라고 호소(경기일보 3일자 5면)한 가운데 환경교육에코센터 건립·운영을 놓고 지역 정치권이 문제해결을 뒤로한 채 SNS로 난타전을 벌여 빈축을 사고 있다.

 

결국 지역 정치권의 정쟁으로 주민들이 쓰레기 처리문제로 일상생활에 스트레스를 받는 등 정치권을 향한 불만 표출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센터 운영 관련 안성시와 주민협의체는 재단 설립 운영, 시의회는 직영으로 운영할 것을 고집하면서 쓰레기대란이라는 논란의 불씨를 피웠기 떄문이다.

 

이는 최근 국민의힘 A시의원이 SNS를 통해 밝힌 문장 내용이 명확하지 않은 정보를 들먹이면서 이번 사태를 더욱 키우고 논란의 구렁텅이로 빠트렸다.

 

김보라 시장도 SNS를 통해 ‘쓰레기대란의 발단은 시의회가 주민협의체와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서 시작됐다’는 글을 올려 정치권 싸움을 촉발시켰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정치권이 주민들의 삶과 안위는 안중에도 없고 쓰레기 적치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기는 커녕 상대방 깎아내리기에만 서로 열을 올렸다는 지적에도 무게가 실린다.

 

실제 김 시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소각장을 짓기로 3년에 걸쳐 합의하면서 전문성을 갖춘 환경재단을 만들어 환경교육에코센터를 운영하게 해 교육을 통해 쓰레기량을 줄여가겠다고 주민과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에 맞서 A시의원은 SNS에 “여전히 사실을 왜곡한다. 기준 인건비가 118억원이나 들어 가는 환경재단의 이유가 된다는 게 얼마나 코미디 같은 행정인가”라는 글을 올렸다.

 

이 같은 글들이 SNS에 올려지면서 이들에 대한 주민들의 응원도 찬·반으로 나뉘면서 지역사회가 분열의 기로에 서 있는 실정이다.

 

일부 누리꾼은 “양쪽 다 뭣들하는 건지 주민이 봉인가”라고 지적하는가 하면 “일을 그렇게 할려면 자리에서 물러나든지 퇴진하라”는 지적도 서슴치 않고 있다.

 

한편, 환경교육에코센터 건립은 시가 지난 2020년 환경부 주관 스마트그린도시사업에 공모헤 기후위기 대응과 의식전환을 통한 문제 해결형 사업에 선정됐다.

 

시는 이에 국·도·시비를 들여 제로 에너지 다목적 시설과 옥상 녹화 등에 79억원, 기후환경 통합시스템 개발 14억원, 그린 에너지 설비 설치 12억원 등 공사비를 포함해 118억원을 투입한 상황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