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전방전위증은 위쪽 척추뼈가 아래쪽 척추뼈보다 앞으로 빠져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서서히 척추뼈가 앞으로 밀려 나오면서 허리통증과 척추의 모양, 걸음걸이 변화와 같은 외적인 변화를 유발해 노년의 건강한 일상생활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인만큼 유의해야 한다.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척추전방전위증은 갑자기 충격을 받은 사고나 외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대체로 50대 이후 퇴행성 변화 즉,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척추 주변의 인대, 디스크, 근육이 약화해 척추를 고정하는 능력이 떨어져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면서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수 있으니 척추전방전위증이 의심되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정렬을 이탈한 척추뼈가 서로 어긋나면서 그사이를 관통하는 신경이 눌리게 된다. 이로 인해 만성 요통, 다리 저림이 발생하고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아프고 저려서 잘 걷지 못하게 되는 신경인성 파행이 발생한다.
특히 척추뼈가 앞으로 빠지는 정도(전위)가 심한 경우 허리를 만졌을 때 특정 부위가 툭 튀어나온 것처럼 느껴지거나 엉덩이가 뒤로 빠지면서 보행 시 뒤뚱뒤뚱 걷는 듯한 외적인 체형과 걸음걸이에 변화도 생긴다.
일반적인 척추질환과 마찬가지로 증상이 약하면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신경의 눌림으로 통증과 유착이 심하면 유착을 제거하고 약물을 주입하는 비수술치료인 신경성형술을 하면 큰 도움이 된다. 주사치료를 하면서 통증이 완화되면 척추 주변 근육강화 운동을 하면 더 이상의 증상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심하면 종종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거나 요실금이나 변실금과 같은 대소변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차경호 원장은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허리에 실리는 과중한 부담을 줄여야 한다. 특히 척추뼈를 연결하는 부위에 골절(척추분리증)이 있는 경우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인 검진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