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안성시 자원회수시설 주민협의체 “소각장 80t 신·증축 백지화”

안성시 자원회수시설 주민협의체가 15일 오전 안성시의회 앞에서 소각장 80t 신·증축 전면 백지화를 선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석원기자

 

안성지역 쓰레기 대란이 정치권 문제로 비화(경기일보 9일자 5면)된 가운데 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가 안성시와 시의회 등과 합의한 80t 소각장 신·층축 협약서 전면 백지화를 선포하고 나섰다.

 

협의체 회원들은 15일 오전 9시 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개항의 내용을 담은 성명서(입장문)를 공식 발표했다.

 

이들은 3년씩이나 내구 연한이 초과된 소각장 당장 폐쇄, 80t 소각장 증축 협약서 백지화, 보개면 6개 마을 주민 희생, 소각장 다른 지역 설치 운영 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보개면 마을 6곳 주민들은 지난 18년 간 안성 시민 전체가 버린 생활쓰레기를 아무 말 없이 태웠다”며 “소각용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렸다고 책임을 다한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아무렇게나 버린 쓰레기를 태워 피해를 받는 지역에 안성 시민이 있다. 유리병,자전거 타이어 등 소각장에 반입 불가능한 쓰레기가 너무 심각한 상황으로 그 피해는 마을 6곳 주민들에게 돌아간다고 호소했다.

 

특히 이들은 “협약 내용을 부정한 국민의힘 시의원 5명이 조례 부결과 철회에 동의하면서 이미 80t 소각장 신·증축 협약서가 무산되고 백지화 된 만큼 주민을 담보로 한 쓰레기는 더 이상 태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협의체는 지역에 근거 없이 떠도는 자신들을 향한 12가지 항목 비난문제도 거론했다.

 

이들은 “이익을 얻어내려는 여론에 대해 수억원은 주민 건강, 생존권과 바꿀 수 없는 사항이며 재단 요구는 퇴직 공무원 자리와 정치적인 측근 심기 차단, 전문가 공개 채용 등”이라고 항변했다.

 

아울러 “소각장 중단 문제는 2005년 감시와 타 시·군 사례를 반영해 생활쓰레기 반입제재기준을 시와 협의하고 2008년부터 적용해 결정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한편,시와 시의회, 주민지원 협의체는 지난 2020년 9월21일 소각장 증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을 통해 자원회수시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