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년차를 맞은 윤석열 정부가 가장 많이 언급했던 단어는 ‘경제’, ‘국민’, ‘자유’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년간 진행된 정부 행사나 회의, 간담회에서 발표된 대통령 연설문 190건을 전수 분석한 결과를 14일 밝혔다. 단, 연설문에 관용적으로 사용돼 온 ‘정부’, ‘대한민국’, ‘나라’와 같은 단어는 이번 순위에서 제외됐다.
최종 분석 결과 윤 대통령이 사용한 빈도가 가장 높았던 단어는 ‘경제’(557회)로 분석됐다. 이어 국민(532회)과 자유(509회)도 500번 이상 거론됐다.
이와 함께 ▲협력(403회) ▲세계(397회) ▲산업(389회) ▲국가(378회) ▲함께(353회) ▲기술(351회) ▲지원(341회) 등이 10위권에 함께 들었다.
대한상의의 이번 분석 결과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크게 경제와 국제관계 등 2가지 분야로 분류됐다.
경제 분야의 경우, 상위 30위권 단어 중 11개 단어가 꿰찼다. ‘산업’, ‘기술’ 외에도 ‘기업’(12위·296회), ‘시장’(16위·204회), ‘혁신’(18위·195회), ‘투자’(19위·187회), ‘디지털’(22위·178회), ‘성장’(24위·172회), ‘첨단’(26위·170회), ‘수출’(27위·162회) 등이 여기에 해당했다.
또 국제관계 분야의 경우, 상위 30위권 단어 중 7개 단어가 포함됐다. ‘협력’(4위)과 ‘세계’(5위)를 비롯해 ‘양국’(13위·287회), ‘안보’(17위·201회), ‘한미’(19위·187회), ‘글로벌’(21위·184회), ‘평화’(27위·162회) 등이다.
그 외 30위 내에 속한 주요 단어로는 지원(10위)과 사회(11위·332회), 가치(23위·176회), 민주주의(25위·171회), 우주(30위·157회) 등이 있었다. 부정적 의미를 내포한 단어로는 위기(15위·209회)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국내외 이슈 등에 따라 거론된 단어도 변화하는 모습이었다.
예컨대 정부 출범 초기인 지난해 5∼6월에는 국정 철학과 목표인 ‘자유’와 ‘국민’이 높은 빈도를 보였고, 기준금리 빅스텝(0.5%포인트 이상 인상)과 소비자물가 상승의 영향이 컸던 7~8월에는 ‘경제’와 ‘민생’, ‘금리’, ‘부담’ 등의 단어가 진입하는 식이었다.
이와 관련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수출경쟁력 하락, 잠재성장률 저하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만큼 경제 분야 전반에서 국가적 역량을 모을 수 있는 메시지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