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녹색도시 '앞장'... 미세먼지·탄소감축 강화

미세먼지 5년전보다 38% 감소

고양특례시가 지난해 조성한 대화도서관 골목정원길. 고양특례시 제공

 

고양특례시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탄소 등 감축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미세먼지 등 지역 대기질이 갈수록 개선되고 있다고 판단해 이뤄지는 조치다. 

 

22일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지역 내 5곳에 설치된 국가 대기오염 측정망의 연간측정 평균치를 보면 지난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는 5년 전인 2017년에 비해 각각 38%, 3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이에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과 도시숲‧포켓숲 조성사업 등 미세먼지‧탄소감축정책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유차는 줄이고 친환경 자동차는 보급을 지원해주기로 했다.

 

시는 올해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 대상을 배출가스 4등급 차량까지 확대해 1천231대 조기폐차를 지원한다.

 

아울러 배출가스저감장치 부착 32대, LPG화물차 신차 전환 35대 등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지원도 확대한다.

 

친환경 자동차 보급은 더 늘린다. 

 

올해 전기차, 수소차 3천913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카드뮴, 납 등 유해한 성분이 포함된 도로재 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흡입청소차와 살수차를 운행 중이다.

 

주거지 주변 유휴부지에는 도시숲과 포켓숲을 조성해 도로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는다. 

 

시는 지난해 나무 12만7천763그루를 심은 데 이어 올해는 킨텍스 원시티 중앙거리 가로수 식재와 백마로 도시숲 리모델링, 안곡습지공원 주변 공원화 등 도시숲 조성을 늘릴 계획이다. 

 

공공·민간시설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역시 확대하고 있다. 고양시는 지난해 경기도 평균 보급량의 3배가 넘는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했다. 

 

시는 이밖에도 ▲시민햇빛발전소 설치사업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신재생에너지 주택·건물 지원사업 ▲미니태양광지원사업 ▲공공시설물 태양광발전설비 설치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이동환 시장은 “친환경 자동차 보급‧전환을 확대하고 생활 속 도시숲과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충해 미세먼지 없는 저탄소 녹색성장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