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반도체 클러스터 622조 투자…일자리 300만개 창출"

수원 성균관대서 세번째 민생토론회, "반도체 강력히 뒷받침할 것"

image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경기 남부의 반도체 산업 투자를 이끌어내면 일자리 300만개가 만들어진다며 총력 지원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15일 오전 경기 수원시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경기 남부를 관통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총 622조 원이 넘는 투자가 이뤄지면 앞으로 좋은 일자리가 최소 3백만 개 새로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당장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158조원이 투자되고, 직·간접 일자리 95만개가 새로 만들어질 것"이라며 "현재 우리 반도체 분야 일자리는 18만개 정도 되지만,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이 팹(fab)에서만 7만개의 일자리가 더 생긴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반도체 공장 하나를 지으면 일자리가 많이 생긴다. 평소에는 잘 못 느껴서 여러분들이 모르실 수 있지만 (산업)생태계가 조성되고 전후방 동반 투자가 이뤄지면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며 "중산층, 서민 등 국민들의 일상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진국들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지금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국가의 자원을 총력 투자해 반드시 성공시킬 것이다. 올해 끝나는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도 앞으로 계속 적용하고 동맹, 우방국과의 외교관계도 강화해 반도체 산업을 강력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대기업 퍼주기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정말 말도 안 되는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며 세액 공제로 반도체 기업 투자가 확대되면 관련 생태계와 전체 기업의 수익과 일자리, 국가 세수가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획재정부도 다 사업하는 곳이다. 세액 공제로 세수 감소하는 것을 그냥 볼 국가 기관이 아니다"라며 "세금을 면제해주고 보조금을 지급했을 때 더 많은 세금과 재정 수입이 이뤄질 것을 보고 정부도 사업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반도체 산업을 위해 대규모 전력과 용수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파운드리 하나 까는데 1.3기가와트(GW)의 원전 1기가 필요하다. 인구 140만명의 대전이나 광주보다 전기를 더 많이 쓴다"며 "고품질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고 원전은 이제 필수"라고 했다.

 

이어 "탈원전을 하게 되면 반도체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을 포기해야 한다"며 "민생을 살찌우기 위해서라도 원전 산업은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은 국가의 인적·물적 자원을 총력 투입해야 성공할 수 있는 전략 산업이다. 현대 전쟁은 총력전 아니겠나. 세계 최고의 초격차를 유지하는 것은 바로 전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면서 "과학기술 혁명의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서는 천천히 순리대로 나가면 되는 것이 아니라 치열한 속도전을 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