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22조 투입… 경기도, 세계 최대 반도체 메카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총면적만 여의도 7배인 2천100만㎡ 규모
2030년 세계 최대 규모인 월 770만장의 웨이퍼 생산 예상

image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이 622조원을 투입, 오는 2047년까지 경기 남부 지역에 조성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정부가 적극 지원한다.

 

인프라·투자 환경 조성과 반도체 생태계 강화, 초격차 기술 및 인재 확보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 육성에 나서겠다는 것인데, 이렇게 조성될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는 650조원 규모 생산 유발 효과를 낼 전망이다.

 

정부는 15일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 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를 열어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평택·화성·용인·이천·안성·성남 판교·수원 등 경기 남부에 집적된 반도체 기업과 기관을 한 데 아우르는 개념이다.

 

현재 19개 생산 팹(반도체 웨이퍼 시설)과 2개 연구 팹이 가동하고 있는 반도체 클러스터에는 올해부터 2047년까지 622조원의 민간 투자가 진행, 연구 팹 3개 등 16개 팹이 새로 추가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용인 남사, 원삼 지역에 신규 조성 중인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메모리 반도체 클러스터에 각각 360조원, 122조원을 투자하는 게 핵심이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평택 고덕 반도체 캠퍼스 증설에 120조원을, 기흥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증설에 20조원을 추가 투자한다.

 

이렇게 조성되는 메가 클러스터는 총면적만 여의도 7배인 2천100만㎡ 규모에 달하며 2030년이면 세계 최대 규모인 월 770만장의 웨이퍼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비롯한 최첨단 메모리 반도체, 2나노미터(㎚) 이하 공정 시스템 반도체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생산 기지가 조성되도록 민간 투자를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메가 클러스터 내 팹 건설과 운영을 통해 정부는 ▲장비·원료 생산 확대 ▲인프라 건설 확대 ▲반도체 전문 인력 고용 확대 등 364만명의 직간접 일자리가 창출, 민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 대통령은 “당장 올해부터 향후 5년간 158조원이 투자되고, 일자리 95만개가 새로 만들어질 것”이라며 “현재 우리나라 반도체 분야 일자리는 18만개 정도지만,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팹 운영 전문 일자리 7만개 이상 새로 생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진국들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지금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국가의 자원을 총투자해 반드시 성공시킬 것이다. 올해 종료되는 반도체 투자 세액 공제로 계속 적용하고 동맹, 우방국과의 외교관계도 강화하는 등 반도체 산업을 강력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