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편입보다 확대된 수도권 재편 주장... 메가시티 3대 추진전략 제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메가시티 적극 추진을 선언했다.
이 시장은 15일 오전 11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메가시티는 시대적 과제이며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며 “시민의 뜻에 따른 메가시티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과 고양은 하나의 생활권인데도 행정의 단절로 인한 장벽으로 교통이 단절되고 그린벨트라는 울타리가 둘러졌다”며 “이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메가시티”라고 말했다.
그가 설명한 메가시티 효과는 서울에 집중됐던 일자리가 늘고 서울로 국한됐던 각종 정책 혜택이 확대되며 교통의 연결, 편의시설 통합 제공 등으로 주민 삶의 질이 높아지는 등 3가지다.
이 시장은 "경기북부의 가장 큰 대도시이자 전국 4개 특례시 중 하나인 고양시가 메가시티 문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고 판단해 진정성을 갖고 면밀히 검토해 왔다”며 지난해 11월 있었던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간담회 등 그간의 추진 과정을 설명했다.
또한 메가시티의 모델로 23개 특별구와 26개 자치시 등으로 구성된 도쿄가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 시장이 밝힌 메가시티 3대 추진전략은 ‘메가시티 TF’ 구성, 자체 연구, 확대 다자간 협의체 구성 등이다.
시 관계 부서와 고양시정연구원, 학계 전문가 등이 두루 포함된 TF를 구성해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진행하고, 메가시티 추진을 고양시정연구원의 중요 연구과제로 삼아 메가시티의 방향과 추진 전략을 가시화하겠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서울시와 각 지자체간 일대일 협상방식은 기능의 통합이 아닌 단순한 인구나 면적 확장에 그쳐 메가시티의 본질을 잃게 될 우려가 있다”며 “총선 후 정부와 서울시, 인접도시 모두를 포함한 ‘확대 다자간 협의체’ 구성을 정부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