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R&D(연구개발) 지원 예산 감소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과학 혁신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16일 오전 대전 유성구 ICC호텔에서 '대한민국을 혁신하는 과학 수도 대전'을 주제로 열린 열두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모두발언에서 "대덕연구단지는 대한민국 도전적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윤 대통령은 "이곳에서 1만7천여명의 박사급 인재, 26개 출연기관, 2천400여개 기업, 7개의 대학이 모여 매년 21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이런 성과의 토대 위에서 더 과감한 혁신에 나설 때가 됐다. 저와 정부는 대한민국이 첨단 과학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고 퍼스트 무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건 사람이다. 과학기술 수준과 경쟁력을 확실히 높일 수 있도록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며 "정부는 민간이 하기 어려운 원천기술 확보, 실패를 상관하지 않는 도전적, 혁신적 R&D를 하도록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신진 연구자 지원 프로그램도 대폭 강화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혁신 과정에서 지원이 줄어드는 것은 아닌지 염려하는 분들이 계신데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며 "오히려 훨씬 더 좋아질 거라고 확실하게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전일제 이공계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 약속도 함께 했다. 석사는 매월 최소 80만원, 박사는 최소 110만원을 지원하는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을 도입하겠다고 했고, 학부생에게만 주어지던 대통령과학장학금을 대학원생에게 확대해 1인당 연평균 2천500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대전 소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을 16년만에 공공기관에서 해제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우수한 연구자들을 유연하게 채용할 수 있도록 보상체계나 조직 운영 체계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