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자 271명 늘어... 4일부터 '법적 처벌' 본격화 예상

누적 565명, 100개 주요 병원 소속 전공의 71.8%·8천945명 이탈
조규홍 복지부 장관 "속히 환자 곁으로 돌아와 주길"

전공의 집단이탈 열흘째이자 정부가 제시한 복귀 시한인 29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이탈 열흘째이자 정부가 제시한 복귀 시한인 29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집단행동 중인 전공의들의 복귀 시한으로 제시한 지난달 29일 전공의 271명이 더 의료 현장에 돌아온 것으로 집계됐다.

 

복귀 움직임이 더 커진 것은 맞지만, 복귀 흐름이 대세가 될지는 3·1절 연휴가 지나야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오후 5시 100개 수련병원 기준 의료 현장에 복귀한 전공의는 직전일(2월28일) 오전 11시 집계 때보다 271명 늘었고, 누적 복귀자는 565명이 됐다.

 

기준이 된 100개 병원에는 전체 전공의 1만3천명의 약 95%가 근무한다. 이들의 사직서는 하나도 수리되지 않았다.

 

복지부는 “지난달 28일 오전 11시~29일 오전 11시 212명이 추가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고, 오후 5시까지 유선으로 확인한 결과 59명이 더 복귀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복귀자 규모는 연휴가 끝나는 4일이 돼야 파악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지난달 29일을 복귀 시한으로 제시하면서 3월부터 미복귀자에 한해 법과 원칙에 따라 최소 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과 수사, 기소 등 사법절차의 진행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휴가 끝난 뒤인 4일부터는 행정적, 법적 처벌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환자 곁으로 돌아와 주신 전공의 여러분의 현명한 결단에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며 “아직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에 대해서는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지금이라도 집단행동을 접고, 속히 환자 곁으로 돌아와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