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는 해병대 채모 상병의 순직 사건 수사 당시 외압을 행사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던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외유성 해외 출장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군인권센터는 26일 오전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김 사령관은 3월 29일 오키나와 주둔 미 해병 제3원정군을 들른 뒤 하와이 소재 미 태평양함대사령부, 미 태평양 해병대를 연달아 방문하는 출국 계획을 수립했다가 최근 취소했다"고 밝혔다.
센터에 따르면 김 사령관은 앞서 지난 7일 한미 연합훈련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를 진행하며 로저 B. 터너 미 해병 제3원정군 사령관을 만난 바 있다. 그러나 한 달도 지나지 않아 해외 출장 계획을 세웠다고 센터 측은 지적했다.
센터는 "국내에서 각종 한미 연합훈련이 진행돼 한미 해병대 지휘부 간의 만남이 이뤄진 상황에서 사령관이 또 장기간 자리를 비운다는 것이 이상하다"며 "저간의 상황을 종합하면 군사외교는 핑계에 불과해 보인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사령관 교체를 앞두고 출장 명목으로 하와이 여행을 떠나려다 이종섭 전 장관 호주대사 임명으로 출국금지 이슈가 불거지자 슬그머니 출국 일정을 취소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센터는 "출국이 반드시 필요한 군사외교 일정이었다면 법무부에 출국금지 해제를 신청하고 다녀오던가 대리자라도 보내야 할 텐데 그러한 정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애초부터 이번 출장이 불필요한 외유성이었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해병대는 김 사령관의 출장 취소가 출국금지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김범중 해병대 공보대외협력장교는 이날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 "해병대사령관의 공무 국외 출장이 순연된 것은 서북도서 일대의 적 위협 등 현 안보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반박하며 "차후 시기는 미국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