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독서대전 행사까지 이어진 ‘작은도서관 폐관’ 갈등

지난 26일 고양특례시 일산호수공원 한울광장에서 열린 ‘2024 고양독서대전’에서 호수공원작은도서관 회원들이 폐관 반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진욱기자
지난 26일 고양특례시 일산호수공원 한울광장에서 열린 ‘2024 고양독서대전’에서 호수공원작은도서관 회원들이 폐관 반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의 공립 작은도서관 폐관을 둘러싼 갈등이 고양독서대전 행사장까지 이어졌다.

 

27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전날 일산호수공원 한울광장에서 열린 ‘2024 고양독서대전’의 이틀째 행사에서 일부 공립 작은도서관 폐관 계획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서명을 받는 등 집단행동에 나섰다.

 

이번 갈등은 시가 내년 공립 작은도서관 다섯 곳에 대한 운영 지원 중단을 결정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거졌다.

 

시는 지난 4월 시작한 ‘제3차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한정된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원 금액이 큰 공립 작은도서관은 줄이고 그 예산을 사립 작은도서관에 집중하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20곳인 시립 도서관의 서비스가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위치한 공립 작은도서관 여섯 곳만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경 1㎞ 안팎에 공립 도서관이 있는 민간 위탁 공립 작은도서관을 비롯해 조성 중인 호수공원 북카페와 중복되는 호수공원 작은도서관, 그리고 책쉼터로 전환될 예정인 강촌공원 작은도서관 등이 문을 닫는다.

 

이에 대해 폐관 예정인 공립 작은도서관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폐관 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A씨는 “시가 일방적으로 자주 이용 중인 공립 작은도서관의 폐관을 결정해 시에 면담을 요청했는데 정확한 설명 없이 무조건 없앤다고만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민간 위탁으로 운영 중인 공립 도서관 네 곳에 인건비로 연간 2억원을 지원하기보다 주민들이 직접 운영하는 사립 작은도서관을 더욱 활성화하는 데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