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충돌 주의 받고 1분 뒤 구조 요청 "활주로 길이는 짧지 않아"...비행기록장치 확보 중 생존 승무원 "조류 충돌 추정...한쪽 엔진에서 연기 후 폭발"
무안국제공항에 추락한 여객기가 사고 직전 조류 충돌(일명 버드 스트라이크) 주의를 전달받았지만 2분 뒤에 사고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오후 브리핑을 갖고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와 관련, "여객기가 착륙을 시도하던 중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충돌 주의를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7분께 무안국제공항 관제탑은 사고 여객기에 조류 충돌을 경고했으나 1분 후인 58분에 사고기 기장이 메이데이를 요청했다.
이후 여객기는 오전 9시께 19활주로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했고, 3분 후인 9시3분께 랜딩기어 없이 착륙하다 충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활주로 01번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다 관제탑에서 조류 충돌 주의 경보를 주자 얼마 안 있다가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했다"며 "그 당시 관제탑에서 활주로 반대 방향으로 착륙 허가를 줘서 조종사 수용하고 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를 지나서 담벼락 충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사고기 기장과 부기장의 비행경력은 각각 6천823시간, 1650시간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각각 2019년 3월, 지난해 2월 현 직책을 맡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 실장은 "현재 비행기록장치는 사고조사위원회가 수거했다"며 "음성기록장치는 현장 상황 따라 추가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짧은 활주로 때문에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에 대해선 "2천800m는 그 전에도 항공기 운항했고, 활주로 길이 충분치 않아 사고 났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무안공항 활주로는 인천공항(3천750∼4천m), 김포공항(3천200m∼3천600m) 보다는 짧지만, 청주공항(2천744m), 대구공항(2천755m)보다는 길다.
사상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선 "동체착륙한 뒤 불이 났고, 그 뒤에 바로 출동했다"며 "원인은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객기 사고의 생존자도 '조류 충돌'을 사고 원인으로 추정한다고 진술했다.
이날 사고 현장에서 구조된 승무원은 구조대에 "조류 충돌로 추정된다. 한쪽 엔진에서 연기가 난 후 폭발했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