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건협 경기도회 실태 조사 중 분양보증 사업장 의정부 등 7곳... 어음·공사비 미지급 속속 접수
최근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 사태(경기일보 1월8일자 1면 보도)와 관련해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가 도내 기업들의 피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나섰다.
13일 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에 따르면 협회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지난 9일부터 신동아건설과의 계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하도급 대금 지급 방법과 지급 기일, 보호장치 여부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전수조사는 앞서 지난 6일 신동아건설이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데 따른 피해 조사로, 신동아건설은 유동성 악화로 지난해 12월 말 만기가 도래한 60억원짜리 어음을 막지 못해 회생 절차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기준 신동아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는 분양보증 사업장은 평택·인천·화성·의정부 등 수도권 7곳(총 2천899가구)에 이른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평택고덕, 오산세교 통합형 민간 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은 이미 공사를 진행 중이며, 오는 2027년 12월 착공이 예정된 LH ‘남양주왕숙 S-9BL 민간 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과 2028년 12월 공사가 시작될 ‘하남교산 S-11BL 민간 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도 수주한 상태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 남양주시 ‘다산지금 A3BL 통합공공임대주택’ 사업과 ‘광교지구 공공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에선 주관사, ‘광명학온 S2~S3블록 민간 참여 공공주택사업’에는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신동아건설이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 공공공사 사업과 전국 단위 민간공사 사업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만큼, 관련 하도급사의 피해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신동아건설과 공사를 진행한 협력업체는 외상매출채권에 기반, 280여 곳에 달한다.
실제 신동아건설 하도급 피해 실태 조사가 진행된 첫날 도내 하도급사의 피해 사례가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신동아건설 협력업체로 등록된 전문건설사에서 어음이나 공사 변경과 관련 대금 처리가 안 되는 등 피해 사례가 이미 접수됐다”면서 “정확한 피해 실태에 대한 조사를 집중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동아건설의 지난해 말 기준 총부채액은 7천980억원으로 전년(6천454억원)보다 1천억원 이상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 비율은 지난 2023년 말 409.8%로, 2022년 말(336.46%)보다 73.34%포인트 올랐다. 공사 미수금은 2천146억원으로, 전년(1천56억원) 대비 103.2% 급증했다.
● 관련기사 : [단독] "공사 중지 명령"...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에 경기 공공현장 ‘카오스’
https://kyeonggi.com/article/20250107580226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