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지역에서 수십년간 여러 사유로 오랫동안 표류했던 공원조성계획이 최근 결실을 보고 있다.
23일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1971년 최초 공원으로 결정된 화정·대덕공원, 행주산성 역사공원 등 세 곳(총 72만㎡)이 2020년 6월 실시계획 인가를 받으면서 도시공원 일몰제로 사라질 위기에 있던 공원을 지켜냈다. 두 곳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단계다.
특히 이들 공원은 창릉 3기 신도시 조성 사업에 따른 개발제한구역 훼손지 복구 사업지로 결정돼 실행률이 더욱 높아졌다.
화정공원과 행주산성 역사공원 등은 고양도시관리공사, 대덕공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이 시행자로 지정돼 복구를 추진 중이다.
행주산성 역사공원은 32만5천㎡ 넓이에 궁도장과 박물관 등이 들어설 예정으로 2023년 말부터 실시설계를 진행 중이다.
행주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토대로 역사문화체험 관광 거점으로 관광객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행주산성 역사공원 특화 추진을 위해 지난해 12월 행주산성 마스터플랜(안)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화정공원은 복구 면적 8만7천㎡ 규모로 재난재해안전체험관, 숲 체험시설, 쉼터 등을 조성하고 대덕공원은 31만4천㎡ 크기로 숲건강터, 숲 도서관, 산책로 등이 들어선다.
아울러 지난해 2월 착공한 탄현 근린공원 2단계 조성 사업은 5만7천㎡ 규모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오는 6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토당 제1 근린공원 조성을 위해선 지난해 6월 주민 의견 청취 이후 협의체를 구성해 궁도장 설치 계획에 따른 이견을 조율하며 궁도장 운영과 주민 요구를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4만9천714㎡ 규모로 조성된 광산 근린공원은 다목적구장을 건립하면서 주민들이 배드민턴, 농구, 탁구 등 다양한 체육 활동이 가능해졌다.
시 관계자는 “장기 미집행 공원은 물론이고 기존 도시공원 재정비, 친환경 공원 조성 등 녹색 인프라를 지속해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