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2만’ 영종에 NH농협은행 전무

1금융권 없고 지역농협 고작 4곳 뿐, 단순 입출금만… 금융 불편 가중
대출·청약 등 위해 송도·청라 원정...농협 “수요 감안, 추진 여부 살필 것”

인천 남동구 구월동 농협중앙회 및 NH농협은행 인천본부. 김샛별기자
인천 남동구 구월동 농협중앙회 및 NH농협은행 인천본부. 김샛별기자

 

“여전히 농업 인구도 많은데 정작 1금융권인 NH농협은행 하나 없다는 게 참….”

 

인천 중구 영종하늘도시에 사는 A씨는 최근 청년전세대출의 만기 연장을 위해 인근 지역농협을 찾았다.

 

하지만 이곳은 2금융권인 지역농협이라 국가정책의 청년전세대출 연장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를 받았다. 첫 대출을 농협은행에서 받은만큼 1금융권인 NH농협은행을 찾았지만 영종에는 없었다. 결국 버스를 타고 1시간여 떨어진 청라국제도시의 NH농협은행을 찾아가야 했다.

 

A씨는 “처음 대출을 받은 은행 외에는 연장이 불가능해 다른 은행을 찾는 등 대안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영종이 인구가 12만명이 넘는 국제도시인 데다가 아직 농업 인구도 많은데 NH농협은행이 한 곳도 없다는 게 당황스러울 뿐”이라고 덧붙였다.

 

인천 영종국제도시에 NH농협은행 지점이 한 곳도 없어 주거래 은행으로 이용하는 주민들이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은행을 찾아가야 하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주민들은 인구 증가 추세에 맞춰 NH농협은행 지점이 생겨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3일 NH농협은행 인천본부에 따르면 영종에는 현재 중구농협의 본점과 지점 등 4곳의 지역농협이 영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역농협은 NH농협은행과 업무 호환 등이 이뤄지지 않아 주거래 주민들이 다양한 대출은 물론 펀드, 외환 등의 업무를 보지 못해 인근 송도국제도시나 서구 원도심 및 청라국제도시 등으로 원정을 떠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1금융권으로 예·적금을 비롯해 주택청약 등 정부 정책 관련 금융 상품, 펀드, 환전 등 대부분의 시중 은행과 업무가 같다. 반면 지역농협은 2금융권으로 예·적금과 영농자금 등의 대출 상품 등만 다루고 있다.

 

특히 주민들은 지역농협에서 단순 통장 및 신용·체크카드의 재발급은 물론 연금 등 신규 가입 등도 하지 못하고 있다. NH농협은행과 지역농협 간 각종 업무 호환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출 상품의 경우에도 지역농협이 2금융권이다보니 NH농협은행보다 금리도 비싼 것은 물론, 개인 신용등급 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조금 더 클 수 밖에 없다.

 

주민 B씨는 최근 농협에서 가입한 주택청약통장을 다 채워 새 통장을 만드려 농협은행을 찾았지만, NH농협은행을 찾아가라는 말만 듣고 나왔다. 단순 통장 입출금만 가능할 뿐, 지역농협과 호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B씨는 “결혼하면서 지방에서 이곳으로 왔는데, 지방은 기본적으로 농협거래를 많이 해 주거래 은행이 농협인 경우가 많다”며 “영종은 여러 지역 사람뿐만 아니라 여전히 소규모 농가들도 많아 NH농협은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종은 농지가 많이 남아 있어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여전히 많다. 전체 인구 역시 지난 2022년 11만217명에서 2024년 12만6천158명에 이르는 등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영종지역 주민카페 등에는 지난 2018년 이후 이 같은 지역농협의 문제와 NH농협은행 지점 개설을 요구하는 글이 끊이지 않고 있다.

 

NH농협은행 인천지역본부 관계자는 “수년 전 주민의 불편함 등을 파악해 지점 개설을 검토했지만, 내부 사정 등으로 백지화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영종지역 고객들의 여건이나 수요 등을 감안해 지점 개설 재추진 여부를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