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5.3항쟁’ 기념일 지정 환영…민주화운동기념관 가시화 '목소리'

인천 5·3 민주항쟁 당시 반독재, 반파쇼라고 써진 현수막을 들고 있는 시민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공
인천 5·3 민주항쟁 당시 반독재, 반파쇼라고 써진 현수막을 들고 있는 시민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공

 

‘인천 5·3민주항쟁’이 인천시 기념일로 지정될 전망이다.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는 17일 성명서를 통해 “인천시 기념일에 인천5·3민주항쟁 지정을 환영하며, 이를 계기로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등을 가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는 최근 ‘인천 5·3민주항쟁’ 등 15개의 기념일을 담은 ‘인천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이 조례안에는 5월3일 인천 민주항쟁을 포함해 1월1일 인천 개항일, 7월1일 인천직할시 승격일, 9월15일 인천상륙작전 기념일, 9월18일 경인선 개통일, 12월22일 하와이 이민의 날 등을 담았다. 시는 조례안을 통해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는 기념일에 행사 등을 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계승사업회는 “그동안 지역사회는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했다”며 “그 결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2조 정의에 ‘인천 5·3민주항쟁’을 추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인천 5·3민주항쟁은 법적 지위를 부여 받았으나 아직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지 않았다”며 “내년 인천 5·3민주항쟁 40주년을 맞는 만큼 정당한 평가를 받기 위한 국가기념일 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광역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민주화운동기념관이 없는 인천도 기념관 건립 부지 선정 등을 가시화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의 정체성과 역사적 가치를 계승·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인천 5·3민주항쟁’ 등 15개를 인천시 기념일로 정했다”며 “시민들에게 보다 널리 알리고자 마련한 것”이라고 답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