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가 운영하는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를 통해 자립 장애인들이 건강을 돌보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장애인 건강주치의는 보건복지부가 지난 2018년 시작한 시범사업이다. 만성·급성질환이나 합병증, 장애 악화를 예방하고 장애 등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주는 제도다.
지난 2월 건강주치의로 활동하는 김청기 인천의원장은 전혀 거동할 수 없는 와상 장애인, 발달장애인 부부 등 5명을 왕진했다. 이들은 모두 센터가 운영하는 장애인지원주택에 살고 있다. 김 원장은 한 가구당 30분 이상을 진료하며 매월 1번씩 방문할 예정이다.
건강주치의는 장애인의 최근 건강검진 자료와 약 목록을 확인한다. 이어 당사자, 활동지원사와 상담하고 현재 상태를 전체적으로 살펴 관리 계획을 세운다. 왕진 가방에는 각종 진료 도구와 시약이 있어 혈액·소변·독감·혈당 검사나 주사 치료도 가능하다. 상급 병원으로 가야 할 경우 의사소견서 등 서류도 발행해준다.
건강주치의는 장애인의 자기 관리가 가능하도록 교육·상담도 한다. 전문적 관리가 필요하면 인하대병원 장애인보건의료센터,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등과 연계한다.
김 원장은 “장애인 건강주치의를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 이 사업을 자원봉사로만 여기는 경우가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직접 집을 방문해 진료하면 환자 상황을 자세히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아직 시작 단계이지만 왕진이 필요한 장애인들이 많이 이용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