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실기업 2019년 이후 최대 규모… 건설업 부실 확률 2배↑

부실기업 비중과 평균부실확률.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부실기업 비중과 평균부실확률.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지난 6년간 빚더미에 허덕이는 기업들이 급증하면서 국내 부실기업 수가 2019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경제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발표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금융업 제외) 3만7천510곳 중 4천466곳(11.9%)이 완전자본잠식 상태로 추정됐다.

 

부실기업 수뿐 아니라 전체 외부 감사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모두 2019년 이후 최대 규모다.

 

2019년에는 2천508곳(7.9%), 2020년 3천77곳(9.2%), 2021년 4천12곳(11.2%), 2022년 3천856곳(10.8%), 2023년 4천350곳(11.6%)이었다.

 

부실확률 역시 2019년 5.7%에서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8.2%로 최고치를 찍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임대업이 24.1%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5.7%),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14.0%)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조업(2.8%)과 도소매업(4.1%)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건설업의 부실 확률은 2019년 3.3%에서 지난해 6.1%로 1.9배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전문과학(1.8배), 광업(1.6배), 정보통신업(1.5배) 순으로 상승 속도가 빨랐다.

 

한경협은 건설업 부실확률이 급등한 원인으로 고금리·고물가, 건설 수주 부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이 늘어나면 실물경제 악화와 함께 금융시장 리스크가 확대돼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진다”면서 “자금조달 비용 완화와 유동성 지원으로 부실위험을 줄이는 한편 원활한 사업재편을 저해하는 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