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공간정보 정책을 체계화해 ‘스마트시티 인천’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8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공간정보 분야의 비전과 로드맵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이행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공간정보 정책 5개년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는 인천에서 처음으로 수립하는 공간정보 분야의 중장기 계획이다.
앞서 시는 현재 운영하는 공간정보 시스템 대부분이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통합적 접근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로 인해 부서 간 협업이 원활하지 않고, 공간정보를 활용한 정책 수립 및 행정 효율화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공간정보의 통합적 관리 및 활용성을 강화해 공간정보를 도시행정과 일상생활의 필수 기반으로 자리매김시키겠다는 목표다. 또 부동산 정보, 육아 및 교육 정보, 침수 및 화재 등 안전 정보와 같이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하는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시는 이 같은 공간정보 기반의 정책이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과 함께 인천시의 스마트시티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종합계획은 인천시가 미래 글로벌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첫걸음이자, 공간정보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간정보는 미래 도시 경쟁력의 핵심 자산으로, 이를 통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