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현재 상반기 목표 4천대 중 접수 373대 불과… 경기도 꼴찌 전기이륜차 지난해 보다 지원 규모 줄여 7일부터 구매 보조금 사업 시작
고양특례시가 추진 중인 전기차 보급 목표 달성에 비상이 걸렸다. 올 상반기 승용전기차 목표 달성률이 9%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다.
13일 시에 따르면 이런 상황에서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지원사업을 시작해 상반기 120대 등 연간 209대의 전기이륜차에 구매보조금을 지원키로 했다.
지난해 312대에 비해 지원 물량을 103대(33%) 줄였는데 예산 부족이 아니라 편성 예산이 너무 많이 남아서다.
2022년 183대로 정점을 찍었던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급 실적은 2023년 70대로 줄었고 지난해는 63대에 그쳤다.
그나마 전기이륜차는 수요 감소 현실을 반영해 지원사업 규모를 줄일 수 있지만 전기차는 2030년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을 위해 785만대(등록차량의 30%) 보급을 추진 중인 환경부 지침에 따라 사업 규모를 오히려 늘렸다.
시는 올해 전기차 보급 목표를 지난해(4천672대)보다 2배 넘게 늘어난 1만905대로 잡았다. 특히 승용전기차의 상반기 보급 목표는 4천대로 경기 시·군 중 가장 많다.
지역에선 지난해 보급 실적이 2천36대(달성률 43.6%)에 그친 점을 감안해 목표가 과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시 관계자도 답답함을 토로했다. 그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의 중장기계획을 따라가기 위해 지난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등 전기차를 보급 확산에 노력했지만 지자체 차원에서 개인의 전기차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이 없어 막막하다”며 “올해 보급 실적도 지난해와 같은 2천대 선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상반기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지원 물량 120대 중 10%는 취약계층, 다자녀가구, 소상공인 등에 우선 지원하고 20%는 배달용 물량으로 별도 배정해 지원한다.
보조금 지원 금액은 규모와 유형, 성능에 따라 다른데 최대 지원액 기준으로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 등이다. 구체적인 보조금 지원 차종과 재원은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신청 대상은 구매지원 신청일 기준 30일 이상 고양시에 주소를 둔 만 16세 이상 시민과 관내 사업장이 있는 기업 및 단체 등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