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금융사기 '고래협력프로젝트' 수사 속도…경찰, 피의자 구속 송치

13개 광역지자체 피해자 56명... 현금화 중간책 등 피의자 구속
허위 사이트·SNS·대포 계좌...압수수색·자금 추적 수사 속도

경찰청. 연합뉴스
경찰청. 연합뉴스

 

가짜 수익을 미끼로 투자자를 유인하던 일명 ‘고래협력프로젝트’ 사건(경기일보 2024년 12월12일자 7면 등)의 일부 피의자가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겨졌다. 본보를 통해 이들의 사기 행각이 보도된 지 119일 만이다.

 

20일 고래협력프로젝트의 집중수사관서로 지정된 충청남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이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A씨를 지난 9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혐의로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에 구속 송치했다.

 

피의자 A씨는 피해액으로 신고된 자금 일부가 제3의 계좌로 흘러가 현금화 되는 과정에서 공범에게 전달하는 ‘중간책’ 역할 등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 조사에서 고래협력프로젝트 일당은 현금뿐 아니라 가상자산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피해금을 인출하고 은닉하는 등의 수법을 쓴 것으로 판단됐다.

 

이에 경찰은 고래협력프로젝트 허위 웹사이트와 SNS 계정, 대포 계좌 등 여러 범죄 수단에 대한 압수수색과 함께 자금 흐름 추적 수사를 병행하는 중이다.

 

지난 17일 기준 전국 경찰서에 신고를 접수한 고래협력프로젝트 피해자는 56명에 달한다. 이들의 피해액은 약 73억원으로 1인당 평균 1억3천만원 수준이다. 이는 충남청이 1월22일께 잠정 집계한 피해자 수(39명)와 피해액(약 48억원)보다 17명, 약 25억원 증가한 규모다.

 

해당 사건에 의한 피해는 경기·인천·서울 등 수도권은 물론 충청·호남·영남 등 전국 13개 광역지자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벌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유사 범행 조직 상당수가 해외에 근거지를 두고 활동한 전례가 있는 만큼, 이번 사건 또한 해외 연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확대할 전망이다.

 

특히 A씨 구속 송치 이후 해당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B씨, C씨 등 2명도 추가로 구속, 최근 검찰에 송치된 것으로 전해져 경찰의 수사에도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충남경찰청 관계자는 “사건의 전체 구조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는 동시에 피해자분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회복 방안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단독] '고래협력프로젝트'를 아시나요? NH투자증권 사칭 주의보

https://kyeonggi.com/article/20241211580281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