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공공기록물을 보관하는 서고(書庫)가 포화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선 인천기록원 설립을 통해 공공기관이 생산하거나 접수한 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의 비전자기록물은 지난 2024년 기준 모두 13만8천166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이기록물(문서·대장·카드·도면) 13만779권, 시청각 자료 352점, 행정박물 3천232점, 간행물 652권, M/F(마이크로필름) 3천151롤 등이다.
현재 이 같은 자료들은 인천시청 본청 지하 1층에 있는 1서고(267㎡·80평)·2서고(150.5㎡·45평)와 계양체육관 서고(236.5㎡·71평) 등에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이들 서고가 포화상태로, 더 이상의 기록물들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하다. 현재 나머지 기록물은 인천시의 각 실·국 수납장에 각각 따로 보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록물 이관 및 폐기 등 기록 관리 업무의 통합 관리가 안 되는 것은 물론 기록물 정리·보존이 미흡하거나 파손 및 분실 위험 등의 우려도 크다.
특히 인천 기록물 보존·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도 부족하다. 기록물관리팀의 인력은 7명 뿐이고, 이 중 기록연구사는 3명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단순 기록물을 보관하는 것에 그치는 등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다각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지역 안팎에선 지역 공공기록물들을 체계적으로 보존 및 관리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수집한 기록물을 활용해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할 수 있는 인천기록원 설립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게다가 지난 2007년 개정이 이뤄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기록물관리를 총괄·조정하고 기록물을 영구보존·관리하기 위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 및 운영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예산 등의 문제로 인천기록원을 설립하지 않고 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19년 서울기록원을 설립해 시정기록 및 서울시민들의 기록 등을 수집, 전문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또 대시민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공공아카이브와 더불어 열람·전시·문화·교육 등 다양한 시민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고 있다. 경상남도도 지난 2018년 기록원을 설립, 지역의 보관가치가 있는 민간기록물까지 수집해 기록문화유산으로 전승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공공기록원 설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인천 공공기록물들의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