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열두 개의 달이 있죠? 시간은 보이지 않아요. 나는 시간을 눈으로 보게 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백남준, WNET 방송국, ‘비디오 갤러리 Ⅲ’ 인터뷰 중)
백남준의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경험해 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됐다. 지난 10일 백남준아트센터가 개막한 ‘전지적 백남준 시점’은 백남준의 인터뷰 영상을 중심으로 그가 전달하고자 했던 시간의 개념을 다층적으로 다뤘다.
백남준은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지나면서 시대적으로 낯선 장르였던 비디오아트를 설명하기 위해 친절하게, 때로는 재치 있게 많은 이야기를 건넸다. 이번 전시에선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2천285점의 비디오 아카이브 중 한국, 미국, 일본, 독일 등 다양한 국가에서 방영된 백남준의 인터뷰 영상을 편집해 작품과 함께 상영한다. 비디오를 그림에 빗대어 설명하고, 전자기술을 시연하는 등 생생한 백남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전시는 백남준 예술에서 다뤄진 시간의 속성을 조명하고 시간의 폭넓은 가능성에 질문을 던진다. 13개의 모니터에 초승달부터 보름달까지 변화하는 달의 모습을 담은 ‘달은 가장 오래된 TV’는 시간에 대한 백남준의 실험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백남준은 비디오가 새로운 시간을 경험하게 해준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 작품을 설명하는 WNET 방송국과의 인터뷰에서 “시간은 느낄 수 있지만, 볼 수 없는 것이다. 시간의 일부분을 붙잡아 공간에 배치하고 싶었다”고 언급하며 변화하는 달의 모습을 자신만의 기술 방식으로 시연했다. 전시에선 이 같은 백남준의 인터뷰와 작품을 함께 감상하게 해 ‘추상적 시간’을 시각화하고자 한 그의 실험에 더 깊이 몰입할 수 있게 했다.
또 ‘촛불 TV’, ‘자석 TV’, ‘참여 TV’,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TV 정원’ 등 백남준의 실험적인 작품 약 10점이 그의 인터뷰와 함께 전시됐다. 백남준은 일본 NHK 방송국과의 다큐멘터리에서 ‘참여 TV’, ‘자석 TV’, ‘촛불 TV’를 제작하게 된 배경과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했다.
그 중에서도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자석 TV’는 장 폴 파르지에의 단편 영화 ‘남준, 한 번 더’에서 시연한 ‘자석 TV’와 동일한 작품으로, 전자적으로 만들어진 감각적인 화면을 직접 감상할 수 있다.
특히 1969년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에서 열린 ‘창조적 매체로서의 TV’에 출품됐던 ‘세 대의 카메라 참여’ 역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전시 도록 영상에선 백남준이 작품을 설치하는 모습까지 함께 관람할 수 있는데, 그의 작업 방식과 창작 과정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백남준아트센터의 새로운 소장품인 피터 무어의 사진 7점도 이번 전시에서 공개됐다. 사진에는 ‘TV 첼로’를 공연하는 샬럿 무어먼과 백남준, 텔레비전을 실험하는 백남준 등 그의 생생한 모습이 담겼다.
백남준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는 비디오 조각들도 전시됐다. 과거의 도구부터 현재 문명까지 아우르는 기술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비디오 샹들리에 No.1’, 우주로 확장된 예술적 상상력을 보여주는 ‘천왕성’, 백남준의 음악과 비선형적인 시간을 보여주는 ‘TV 피아노’ 등이다.
백남준아트센터 관계자는 “아카이브와 함께 비치된 시간을 다룬 백남준의 여섯 편의 글은 백남준을 더욱 깊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한다”며 “전시를 통해 백남준을 기억하고 시간에 대한 사유와 그 가치가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내년 2월22일까지 이어진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