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청년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한다.
시는 13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제2차 시 청년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착수 보고회를 열고 청년 일자리, 주거, 교육, 문화·복지, 참여·권리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 정책들에 대해 논의했다.
우선 시는 오는 11월까지 용역을 통해 인천 청년의 삶 전반을 분석하고 인천시 청년 정책의 방향을 제시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19년에 추진한 제1차 청년 실태조사 결과와 올해 청년 실태조사를 비교·분석해 청년 삶의 변화 지표를 찾는다. 또 설문조사와 FGI(집단심층면접), 원탁토론회 등을 통해 청년들의 수요를 면밀히 반영할 예정이다.
현재 시는 5년간 약 7천648억원을 들여 청년 일자리 창출부터 청년주택 공급 등 주거, 여가문화, 교육체험 등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시는 이번 제2차 계획 수립 과정에서 지난 정책의 성과와 미비점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고, 중앙정부와 타 지자체의 사례도 함께 분석할 계획이다. 또 정책 전달체계와 재원 조달방안도 구체화해 실행력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시는 청년들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높은 과제를 발굴해 인천 청년정책의 체계적인 추진 기반을 마련, 청년 자립은 물론 지속 가능한 정주 여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청년, 행정, 전문가가 함께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해 정책 수립 전반에서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반영한다. 이를 통해 청년의 삶 속에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황효진 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이번 계획은 단순한 행정계획이 아닌 청년과 함께 만들어가는 실질적인 행동계획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년을 정책의 대상이 아닌 동반자로 인식하고, 청년의 눈높이에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