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취업 해 기업 비밀 빼내기도…"위장취업 규모, 예상보다 훨씬 커"
북한이 중국에 유령회사를 차려 미국 등 서방 기업에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을 위장취업시키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미국의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사이버 정보 플랫폼 '스트라이더 테크놀로지스'(스트라이더)가 북한의 IT 인력과 관련된 중국 기반 기업은 35곳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스트라이더에 따르면 이 기업들은 미국의 제재 대상인 '랴오닝 중국 무역'과 연관된 것으로 의심된다. 이 기업은 북한 정부 기관에 노트북 등 IT 장비를 수출해 지난 1월16일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제재 명단에 올랐다.
스트라이더는 특히 섬유·전자제품 도소매 업체로 등록된 '단둥 데윤 무역', 화장품·의류 도매업체 '광저우 아이이시 무역', 광물·건축자재 도매업체인 '융핑 주오런 광업' 등 세 곳이 북한의 IT 활동과 관련된 작전 자금 지원을 도울 가능성이 있다고 지목했다.
악시오스는 스트라이더의 그레그 레베스크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을 인용해 북한 IT 노동자들의 위장 취업 목적이 과거와는 달라졌다고 짚었다. 과거엔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아 북한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활용해왔지만, 최근엔 위장 취업한 노동자들 중 일부는 대상 기업의 지식재산권 등 정보수집에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레베스크 CEO는 "현재 우리가 모두 깨닫고 있는 건 이 산업(북한의 IT 위장취업)의 규모와 범위가 사람들이 처음에 알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