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10명 중 8명 소아 ‘성홍열’ 유행…지난해 대비 2.5배 증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제공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10세 미만의 소아를 중심으로 감염병 ‘성홍열’이 유행하며 방역 당국이 철저한 예방·관리를 당부했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시설에서의 집단발생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기준 성홍열 환자 신고 건수는 3천80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5배로 증가했다.

 

성홍열은 A군 사슬알균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갑작스런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인후통 등으로 시작돼 12~48시간 후 전형적인 발진을 보인다.

 

발진은 1~2일 후면 작은 좁쌀 크기로 입 주위 및 손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나타나지만, 병의 첫 징후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혀가 회백색으로 덮이고 돌기가 두드러지다 2~3일 지나면 붉은색을 띠고 돌기가 붓는 딸기 모양으로 새빨갛게 변한다.

 

대개 겨울과 봄철 소아에게 발생하는데 매년 전체 환자 중 10세 미만 소아가 80% 이상이다. 이러한 성홍열은 8년 만의 재유행으로 지난 2017년 환자 2만 2천838명이 발생해 정점에 달한 바 있다.

 

성홍열은 호흡기 분비물과의 집적 접촉이나 손이나 물건을 통한 간접 접촉으로 전파되기에 예방·관리를 위해선 비누나 세정제 등을 사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 등이 요구된다.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와 같은 소아 집단 시설에서는 이외 가구 표면, 장난감, 손잡이, 수도꼭지 등 아동이 빈번하게 접촉하는 환경 표면을 자주 청소·소독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홍열 의심 증상이 있을 시 이른 시일 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진단 시 항생제 치료 시작 후 최소 24시간까지 유치원 등 집단 시설에 등원하지 않아야 한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성홍열은 항생제로 쉽게 치료할 수 있으나 방치할 시 중이염, 폐렴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며 “학부모와 집단 시설에서는 예방 관리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녀가 감염 증상을 보이는 경우 신속하게 치료받을 것”을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