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수구, 민선8기 ‘연수형 악취 관리’로 민원 83% 감소

연수구 관계자들이 드론을 활용해 악취 초과여부 등을 점검하고 있다. 연수구 제공
연수구 관계자들이 드론을 활용해 악취 초과여부 등을 점검하고 있다. 연수구 제공

 

인천 연수구가 연수형 악취 관리를 추진, 악취 민원이 83% 줄어드는 성과를 내고 있다.

 

11일 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67건이었던 악취 민원은 민선 8기가 들어선 2022년 92건, 2023년 44건, 2024년 27건으로 줄었다. 3년 사이에 83.8% 감소한 것이다.

 

올해도 연수형 악취 관리 시스템을 활용해 악취에 따른 주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악취 민원이 집중하는 여름철을 맞아 오는 9월까지 인천시와 함께 악취 배출사업장에 대한 집중 점검을 한다. 지역 하수처리장 등 12개 악취 배출사업장에 대해 악취 방지시설 정상 가동 및 악취 방지 조치 적정 여부, 악취배출원별 허용기준 준수 여부, 기타 환경 관련법 준수 여부 등을 살필 계획이다.

 

구는 드론을 활용해 하수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시 하수과와 구 환경보전과, 토지정보과가 참여하는 점검반을 구성, 드론으로 악취 초과 여부 등을 감시하고 오염도 검사도 한다.

 

구는 악취 발생 원인을 파악하는 데도 집중한다. 무인 악취 포집기 16대를 송도 지역에 설치했고, 실시간 악취 센서 6대로 복합악취 등을 자동 포집하고 있다. 또 지역의 악취 배출사업장인 삼성바이오로직스 2공장 배출구와 삼성베올리아인천환경 설비동 배출구를 24시간 감시하고 있다. 구는 악취가 모일 경우, 포집한 악취 시료를 48시간 안에 인천보건환경연구원으로 보내 분석을 의뢰한다.

 

이재호 구청장은 “특히 악취 민원이 몰리는 여름철에 악취 배출사업장이 악취 배출 허용 기준을 넘지 않도록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악취 배출사업장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악취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