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공항, ‘폭싹 속았수다’ 인기로 활기 되찾아…활성화 대책 본격 추진

제주공항 3층 출국장에 마련한 제주 특산품 스폐셜 존. 이병기기자
제주공항 3층 출국장에 마련한 제주 특산품 스폐셜 존. 이병기기자

 

제주국제공항이 넷플리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인기로 활기를 되찾고 있다. 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인 제주도가 성지순례 코스로 떠오르면서 국내외 관광객들의 방문이 늘어났기 때문인데, 제주공항은 이에 발맞춰 활성화 대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13일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제주공항 이용객 수는 61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8% 수준에 그쳤으나 4월부터는 96%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5월 황금연휴 기간에는 전년 동기 대비 여객 수가 100.9%를 돌파해 코로나19 이후 월별 기준 처음으로 전년 수준을 넘어섰다. 항공사들은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춰 하계 스케쥴에 대비해 운항 및 공급석을 지속적을 확대하고 있다.

 

공항공사는 이번 여객 수요 반등이 ‘폭싹 속았수다’의 인기로 국내는 물론, 일본과 대만 등 인접국 관광객의 제주도 방문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 3월 선보인 ‘폭싹 속았수다’는 넷플릭스에서 비영어 TV 쇼 부문에서 수차례 1위를 차지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제주공항은 지난 3월 한국관광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관광협회와 업무협약을 하고 항공-관광 연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제주도와 공동으로 ‘지금, 제주여행’ 프로모션을 하는 등 공항 활성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공항 3층 출국장에 마련한 제주 특산품 스폐셜 존에서 관광객들이 물건을 살펴보고 있다. 이병기기자
제주공항 3층 출국장에 마련한 제주 특산품 스폐셜 존에서 관광객들이 물건을 살펴보고 있다. 이병기기자

 

제주공항은 이번 여객수요 반등을 계기로 항공수요 완전 회복을 위해 프로모션 강화, 노선 확대 및 운항 증편, 국제선 터미널 시설 개선, 제주 특화 컨세션 유치 등 제주공항 활성화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먼저 프로모션 강화를 위해 이달부터 일본영사관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콘텐츠 기반 합동 프로모션 ‘JJ콘텐츠어워드’를 추진, 일본-제주 간 관광 수요를 확대한다. 앞서 제주공항은 대만 및 중국 대사관과 릴레이 간담회를 통해 중화권을 대상으로 하는 여객 유치활동도 펼쳤다.

 

노선 확대 및 운항 증편 관련 제주공항은 지난 4월 티웨이항공, 타이거에어타이완 등 항공사와 대만 가오슝 노선을 재개했으며, 이달부터 타이중 노선을 신규 개발해 대만 3대 도시와 제주를 잇는 노선을 완성했다. 오는 8월15일부터는 싱가폴 노선을 주 5회(9월1일부터 주 7회) 신규 운항한다. 또 제주-김포 노선의 공급석 확대를 위해 전년 동월 대비 공급석을 3천360석 늘리는 항공사에게 착륙료의 20%를 감면하는 특별 인센티브도 하고 있다. 이 밖에 국제여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터미널 시설을 개선하고, 공항 이용 매력도를 높이기 위한 특화 컨세션을 유치한다.

 

이정기 공항공사 사장직무대행은 “공사는 제주관광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는 지금이야 말로 여객 수요 회복을 위한 중요한 모멘텀”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관계 기관과 노선 확대 및 인프라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