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의, 140년 발자취… 1885년 인천객주회부터 현재까지

창립 140주년 인천상공회의소사 표지. 김샛별기자
창립 140주년 인천상공회의소사 표지. 김샛별기자

 

인천상공회의소의 올해 창립 140주년을 맞아 첫 인천의 경제단체로 태동부터 현재까지의 발자취가 기록물로 발간됐다.

 

13일 인천상의에 따르면 최근 인천상의의 140년 역사를 집대성한 ‘인천상공회의소사’를 발간했다. 이 책은 인천상의의 역사를 태동기(1885~1910년), 근대 격랑기(1910~1945), 광복 후 혼란기(1945~19760), 산업화·민주화 시기(1960~2000), 선진화 도약기(2000~2025) 등 총 5개 시기로 구분했다.

 

인천상의는 1885년 ‘인천객주회(仁川客主會)’로부터 시작한다. 1883년 제물포 개항으로 인천에 전국의 객주들이 모여들면서 외국상인, 특히 일본상인들에 대한 불법 행위에 대응하고 조정에 건의를 요구할 집단이 필요했다. 이에 상인들은 1885년 인천객주회를 설립, 인천상의의 초석이 됐다.

 

을사늑약 직후 경부철도 개통으로 전국 도시에 상업회의소가 생겼고, 인천에도 1905년 ‘인천조선인상업회의소’가 자리 잡았다.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하면서 상업과 경제 정책 역시 일본 중심으로 이뤄졌다.1916년 일본은 인천조선인상업회의소를 ‘인천일본인상업회의소’로 통합, 일본인 중심 조직으로 단일화했다. 1930년에는 ‘인천상공회의소’로 이름을 바꾸고 현재와 비슷한 체계도 갖췄지만, 여전히 민족 상인보다는 일본 위주로 운영했다. 1944년에는 각 지역 상공회의소를 도 단위로 합치면서 인천상의 역시 경기도상공경제회 인천지부로 규모가 줄었다.

 

1945년 해방 이후 인천상의는 전후 지역 상공업 복구 작업에 나서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1946년 인천 송학동에서 창립총회를 거쳐 자주적인 임의단체로 재출발한 데 이어 1952년 공포된 상공회의소법 등에 따라 법정단체가 됐다.

 

법정단체 전환 이후 상의는 역사의 기반을 발판 삼아 지역과 기업의 상생 발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이번 상공회의소사에도 최근 10년간의 주요 활동과 지역경제에 기여한 성과 등을 함께 담았다.

 

인천상의는 인천수출산업공업단지(부평수출공단) 및 남동산업단지 조성뿐만 아니라 한국유리, 인천제철(현 현대제철) 등 대기업 본사의 인천 유치를 이끌었다.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에는 정부 건의활동, 규제개혁 간담회 등을 수시로 열어 인천 기업들의 목소리를 대변했으며, 인천자동차산업살리기범시민협의회를 구성해 자동차 산업 위기 속 대우자동차 부평공장을 지켜내기도 했다. 2017년 대선부터는 전국 최초로 시민단체와 함께 ‘인천경제주권 어젠다’를 발표, 지역 현안 해결에 힘을 실었다.

 

박주봉 회장은 “140년이라는 시간은 단순한 세월이 아니라 인천 상공인들의 도전과 헌신, 지역경제의 궤적을 담은 기록”이라며 “이 책이 인천상의 역사적 성과를 재조명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나침반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상의는 앞으로도 지역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기업의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