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문과 누드! 오래된 문과 여자 누드와의 결합에서 묘한 조응이 유발된다. 방복희의 작품을 보면 평소 다뤄왔던 오래된 물건과 문이란 소재들이 인상 깊다. 주로 오래된 것에 대한 천착으로 주제의식을 심화시켜가는 작가라 할 수 있다. 그가 가장 심혈을 기울여 다루는 소재는 문이다. 오래된 문은 작가에게 확실한 공간을 분리하는 매개가 되고 있다. 문 안과 밖은 드러냄과 숨김의 의미로 확대되면서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오래된 흔적이 한껏 묻어 있는 문 안으로 누드를 배치해 달가닥거리는 그 문고리를 더욱 당기게 만드는 지남력을 갖게 만든다. 작가의 흔적의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선뜻 들여다보기 보다는 은근한 엿보기라고 할 수 있다. 엿보기란 숨김에 대한 반작용이다.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가 강하게 형성된다. 방복희의 문들은 흔적으로 한 가닥 길을 뚜렷이 내고 있다. 우리가 놓치고 온 추억의 한 부분을 만나게 되면서 비로써 나라는 한 인간이 완성되는 균형감각을 획득하는 안정감을 갖게 하는 힘이 있다. 그래서 그 속에서 나를 포옹하는 사랑과 어머니의 품속 같은 따뜻한 온기, 상처를 치유하는 아늑한 온기를 만날 수 있다. 삭막한 세상에서 부대끼며 받은 상처를 치유하는 그런 치유책을 던져주고 있는 듯하다. 작가는 문을 통해 흔적을 만들고 한단계 더 나아가 여성성을 결합시키면서 에로틱과 모성적인 두 개의 세계를 성과 치유의 세계로 추출해내면서 독특한 작가만의 공간을 만들어가고 있다. 결국 문은 안과 밖이란 서로 상반되는 공간적 구분을 갖지만 오랜 흔적의 공간과 결합해 아늑한 모성적인 정서와 치유의 공간으로 승화된다. 방복희 (房福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회화학동대학원 졸업 개인전선정작가 초대전 11회(서울, 대구, 일본) 국내외 아트페어 및 미술제 그룹 초대전 60여회(서울, 홍콩, 뉴욕, 중국) 작품 소장처 : 대구 YMCA, 일본 YMCA, 경주동산병원 태국 치앙마이 International Hotel, 치앙라이 International Hotel 현재 : 한국현대미술 신기회, 대구구상작가, 아트울산 초대작가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 가을엔 굳이 비싼 보양식이 아니라도 뭐든 맛있는 계절이다. 짙어가는 단풍으로 눈이 즐겁다면, 집에서 제철재료를 활용해 간단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요리로 가족들 가을입맛 사냥에 나서 보자. 든든하고 매콤한 밥도둑! 오삼 매운 고추장찌개 신나게 뛰놀다 보면 엄마가 해주신 칼칼한 찌개에 따뜻한 밥 한술이 더욱 생각난다. 오삼 고추장찌개는 아이들 입맛을 당겨줄 수 있는 것은 물론 술안주로도 제격이다. 재료 오징어 반 마리, 삼겹살(돼지고기), 두부, 두반장, 고추장, 마늘, 생강즙, 청주, 야채 만드는 법 ① 냄비에 육수 혹은 생수를 넣고 끓이다가 고추장과 두반장을 넣고 끓인다. ② 국물이 끓으면 오징어와 삼겹살을 넣어주고 어느 정도 익은 후 두부와 야채를 넣고 더 끓여준다. ③ 마늘과 생강즙, 청주를 넣어준 후 한소끔 끓이면 끝! 라면도 요리다! 간장소스 볶음라면 라면은 장소를 불문하고 필수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먹던 라면이 지루하다면 간단한 레시피로 건강하고 이색적인 별미를 만들 수 있다. 재료 야채, 라면, 표고버섯, 돼지고기 혹은 햄(생략가능), 오징어(생략가능), 간장, 물, 후춧가루 만드는 법 ① 야채, 햄을 먹기 좋게 썰어 놓고 오징어도 손질해 썰어 둔다. ② 건 표고버섯은 불려놓고 라면 면발을 살짝 삶은 후 찬물에 씻어낸다. 이때 녹차 티백을 넣고 같이 끓여 주면 기름기가 제거되고 맛이 깔끔하다. ③ 달궈진 팬에 마늘과 파를 볶은 후 오징어를 넣는다. 이때 청주를 넣어주면 잡내를 잡아준다. ④ 준비한 재료를 모두 넣고 간장:물(2:8)과 후춧가루 조금을 넣고 볶아 주면 끝! 어린이도 좋아하는 가을 제철 건강 요리~ 아욱 소시지전 아욱은 제철인 가을에 맛과 영양이 풍부하지만 채소를 싫어하는 아이들은 잘 안 먹으려 한다. 이럴 때 아이들이 좋아하는 소시지와 함께 전으로 만들면 어른과 아이 모두 좋아하는 영양식이 된다. 재료 아욱, 소시지, 부침가루, 전분가루, 소금, 달걀, 물, 기름 약간 만드는 법 ① 아욱은 깨끗이 씻어 놓고 소시지는 살짝 데친다. ② 재료를 모두 넣고 반죽한 후 적당히 소금 간을 한다. ③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노릇하게 부쳐주면 끝~! 참치 통조림의 이유 있는 변신~ 참치 매운탕 수제비 꼭 낚시를 해야만 매운탕을 먹을 수 있는 건 아니다. 참치 통조림 하나면 깊이 있는 별미 매운탕 수제비가 만들어진다. 재료 밀가루, 참치통조림, 호박, 감자, 대파, 양파, 고추장, 고추가루, 다진 마늘, 국 간장, 소금 만드는 법 ① 밀가루와 물, 소금을 넣고 잘 치댄 뒤 20분 정도 숙성시킨다. ② 물이 끓으면 고추장과 고추가루를 넣고 끓이다 감자와 참치 한 캔을 넣는다. 이때 참치 기름이 좀 들어가야 더욱 맛이 있다. ③ 숙성된 반죽을 얇게 뜯어서 넣어주고 나머지 야채와 다진 마늘, 국 간장을 넣는다. ④ 소금 간으로 마무리 하면 끝! 글 _ 강현숙 기자 mom1209@kyeonggi.com 사진 _ 만개의 레시피
일시10월 11일(목)~14일(일) 시간(목) 오후 8시, (금) 오후 7시, (토) 오후 7시, (일) 오후 4시 장소아람극장 관람연령만 7세 이상(미취학아동 입장불가) 관람료R석 8만원, S석 6만원, A석 4만원, B석 2만원 문의1577-7766
일시10월 12일(금) 시간오후 8시 장소평촌아트홀 관람연령만 7세 이상 관람가 관람료VIP석 7만원, R석 6만원, S석 4만원 문의031-687-0555
일시10월 16일(화) 시간오후 3시 장소앙상블시어터 관람연령만 7세 이상 관람가 관람료VIP석 4만원, 일반석 2만원 문의1544-8117
일시10월 11일(목) 시간오후 7시30분 장소소공연장 관람연령8세 이상 관람가(미취학아동 입장불가) 관람료전석 5천원 문의031-644-2100
속삭이는 벽은 기발하고 환상적인 마법같은 마임극. 비밀스러운 속삭임들과 함께 하나 둘 사라져가는 마법 같은 작은 골몰길을 홀로 여행하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에서 사랑스럽고 비밀스러운 여인역을 맡은 오렐리아 띠에리는 종이박스들에 그녀의 인생을 가득 채워 현실로부터 도망친 여자를 연기한다. 그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은 버려진 건물들과 거리들로 쫓겨 다니는 여자는 빌딩 속 다른 이들의 삶의 단편들을 듣게 되면서 그들의 이야기에 빠져들게 된다. 한 시간 반 동안 환상과 마법의 세계를 오가는 이 작품은 온 가족이 함께 즐기기에 제격이다. 일시 10월 13일(토)~14일(일) | 장소 해돋이극장 | 관람료 5만~6만원 | 문의 080-481-4000
대표적인 어린이 도서 책 먹는 여우가 뮤지컬로 만들어졌다. 원작 책 먹는 여우는 책을 너무 좋아해서 책을 먹게 된 여우의 이야기를 통해 어린 시절에 접한 양서와 질 좋은 공연은 개인의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뮤지컬 책 먹는 여우는 원작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뮤지컬에 어울리는 새로운 구성과 캐릭터를 추가해 책과 공연물의 복합적인 상상력과 즐거움을 더한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색, 움직임을 무대에 구현해 생동감과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시각디자인과 연출이 책에서 느낄 수 있는 재미를 선사한다. 일시 10월 13일(토)~14일(일) | 장소 소극장 | 관람료 1만5천~2만5천원 | 문의 1544-4852
여행의 계절 가을이다. 가을여행은 고운 빛깔의 단풍이 주는 풍요로움으로 지친 일상에 여유를 선물한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 지친 몸을 재충전하기 위해 떠나는 가을 여행지에서 가족, 친구, 연인들과 함께 나눠 먹는 맛있는 요리는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의 하나. 나만의 특별 여행식으로 최고의 만찬을 즐기고 싶다면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다양한 인기요리 어플을 활용해 보자. 가을 여행지에서 간단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요리 4선을 소개한다. 매실 삼겹살볶음 산, 바다, 계곡, 캠핑 등 어느 여행지에도 빠질 수 없는 먹을거리 중 하나는 또 다른 별미와 추억으로 다가오는 삼겹살이다. 삼겹살을 불판에 지글지글 구워먹는 것도 일품이지만 고추장으로 양념된 매실 삼겹살볶음의 맛도 뛰어나다. 매실은 알카리성 식품으로 성분 중에 구연산, 무기질 등 유익한 영양소가 다량 함유돼 있고 우리 인체에 부족하면 안 되는 마그네슘, 아연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미용식으로도 좋다. 재료 삼겹살, 실파, 잣, 다시마국물 삼겸살 양념 고추장, 매실장아찌, 매실청, 설탕, 다진 마늘, 청주 만드는 법 1 삼겹살은 적당한 크기로 칼질을 하고 매실장아찌도 함께 준비한다. 불에 삼겹살을 넣고 고루 버무린 다음 매실 장아찌를 넣고 다시 양념이 잘 베이도록 버무린다. 4시간 이상 숙성되면 더 좋은 맛을 즐길 수 있다. 2 양념된 삼겹살을 팬에 넣고 다시마 국물을 부어 볶음을 한다. 국물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저어가면서 볶음을 하여 그릇에 담아내고 실파와 잣을 뿌리면 매실삽겹살볶음 완성. 이때 국물이 자박자박 하면 삼겹살을 팬의 온도에 맞게 잘 저어주어야 바삭하고 고소한 맛을 낼 수 있다. 고구마 야채밥 여행은 즐겁지만 몸은 고단할 땐 가을이 제철인 고구마와 다양한 야채로 밥을 하여 영양을 채워 줄 수 있다. 양념장이나 간장만 있으면 되니 비교적 간단한 조리법이라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다. 재료 쌀, 흑미, 물 2컵, 고구마, 감자, 당근, 표고버섯, 대추, 잣 만드는 법 1 백미와 흑미는 깨끗이 씻어 30분~1시간 불려준다. 2 고구마와, 감자는 껍질을 벗겨 준비하고 먹기 좋게 썰어 찬물에 담가 물기를 빼준다. 당근과 표고버섯도 깍둑썰기 해준다. 3 밥솥에 쌀을 넣고 물을 넣은 후 야채들을 넣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 이하로 불을 줄인 후에 끈 후 뜸을 10분 이상 들여 준다. 새송이 닭안심볶음 밑반찬으로 자주 사용되는 새송이버섯은 쫄깃하고 부드러운 맛 때문에 닭고기와 환상 궁합이다. 여기에 꽈리 고추까지 가세하여 볶아지면 매콤하고 향긋한 맛이 일품이다. 다이어트 때문에 흔히들 닭 가슴살을 애용하지만 닭 안심살을 이용하면 훨씬 덜 퍽퍽하고 단백질이 풍부해진다. 재료 닭 안심, 새송이 버섯, 꽈리고추, 양파즙, 청주, 올리브유, 소금, 후춧가루 볶음 양념장 간장, 생강즙, 다진마늘, 설탕, 청주, 참기름, 후춧가루 만드는 법 1 닭 안심은 밑간 양념에 20분 정도 재어 누린내를 제거하고 야채들을 먹기 좋게 손질한다. 2 양념된 닭 안심살과 양념장을 기름을 두른 프라이팬에 볶은 후 거의 익으면 버섯과 꽈리고추를 함께 볶으면 완성. 버섯 닭고기 볶음 닭고기는 볶음용으로도 훌륭한 요리가 된다. 버섯이 가장 맛있는 시기인 늦가을에 닭과 함께 요리하면 영양과 맛을 겸한 가을여행 최고의 별미가 된다. 재료 닭, 소주(청주),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새 송이버섯, 목이버섯, 당면, 각종 야채 양념 고추장, 물엿, 캡사이신 소스(생략가능), 간장, 고춧가루, 설탕, 다진 마늘, 소금 만드는 법 1 닭의 살을 발라주고 소주(청주)를 첨가하여 푹 끓여 닭을 익힌다. 익힌 닭고기 살들을 찬물로 씻어서 채에 받쳐준다. 2 볶음용 양념장을 만들고 목이버섯은 물에 불리고 나머지 버섯은 끓는 물에 데쳐 찬물에 씻은 후 물기를 뺀다. 3 팬에 다시마 국물 1컵(생수 가능)을 넣고 익힌 닭고기살과 버섯, 야채, 양념장을 넣고 볶아준다. 4 국물이 졸아들면 불린 당면을 넣고 볶아 준다 글 _ 강현숙 기자 mom1209@kyeonggi.com 사진 _ 이지데이(http://www.ezday.co.kr)
2012년은 조선 실학의 집대성자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의 탄생 250주년을 맞는 아주 특별한 해이다. 다산은 시대를 앞서간 대학자이자 개혁가이다. 유네스코도 장 자크 루소, 헤르만 헤세 등과 함께 다산 정약용을 올해의 기념인물로 선정할 만큼 정치경제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긴 세계적인 인물이다. 탄생 250주년을 맞아 그의 사상과 학문을 기리는 각종 학술 발표와 전시들이 어느 해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심에 실학박물관(관장 김시업)이 있다. 올 가을에는 다산 유배지를 둘러보며 그의 발자취를 좇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일 듯하다. 특히 올해 실학박물관은 상설전시실을 전면 개편, 초중고등학교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해 학생들의 견학코스로 제격이다. 정약용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실사구시(實事求是) 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곳, 실학박물관에서의 하루는 아이들에게 더 없이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목민심서열하일기 등 전시품 풍성 자연과 역사가 숨 쉬는 곳, 실학연구의 메카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 정약용 유적지 일원에 지난 2009년 10월 개관한 실학박물관은 경기도가 실학사상을 현대적으로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180억 원을 들여 건립한 박물관이다. 다산유적지 바로 옆 4천75㎡에 연면적 2천38㎡ 규모로 상설전시실 3곳과 기획전시실, 80석 규모의 강당, 부대시설 등을 갖춘 실학박물관은 막연하게 교과서를 통해서만 볼 수 있었던 정약용, 유형원, 박제가 등 조선시대 실학자들의 유물을 직접 보고 그들의 사상까지도 배울 수 있는 곳이다. 실학박물관 상설전시실은 △실학의 형성(제1 전시실) △실학의 전개(제2 전시실) △실학과 과학(제3 전시실)이라는 3부로 구성돼 있다. 제1전시실은 조선후기 실학의 형성과 탄생을 다뤘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개혁과 농상공업의 발전으로 조선사회의 변화된 모습과 중국일본에서 수용된 서양문물 등에서 형성과정을 찾도록 했다. 특히 실학의 출발로 평가되는 반계 유형원이 조선사회의 개혁 방안을 제시한 책 반계수록(磻溪隨錄)을 중심으로 초기 실학자들의 개혁론을 조명하는데 역점을 뒀다. 이와 함께 조선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연구서, 한백겸의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 조선시대 최대의 조세 개혁인 대동법의 추진을 이끈 조익의 포저유서(浦渚遺書), 북학파 실학자 홍대용이 어머니를 위해 한글로 쓴 여행일기,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 중국의 화가인 호병이 그린 김육의 초상화, 송하한유도(松下閒遊圖) 등 주요 유물이 전시돼 있다. 제2전시실은 성호 이익에서 출발하는 실학을 중농학파중상학파실사구시파로 나눠 꾸몄다. 각 학파에 속하는 실학자의 저술과 함께 초중고등 교과서 전 과목에 수록된 실학 관련 내용을 추출정리하고 이를 회화그림애니메이션영상 등을 활용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재구성했다. 이 시대에 형성됐다고 할 만한 조선학은 역사지리언어생활백과사전으로 세분해 소개한다. 특히 동아시아의 최고의 목민서로 통하는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와 다산의 부국강병의 꿈을 담은 경세유표(經世遺表), 박지원이 중국 열하(熱河)까지 몇 천리의 대장정을 쓴 열하일기(熱河日記), 실용의 실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걸작으로 통하는 박제가의 북학의(北學議),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한 안정복의 동사강목(東史綱目) 등을 직접 볼 수 있다. 마지막 제3전시실은 실학의 특징 중에서도 과학이라는 주제를 부각시켰다. 서양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실학자들이 당시 천문학과 지구의 자전 문제, 구형의 지구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하고 있었는지를 각종 천문도와 천문관측기구, 마테오리치의 세계지도, 정상기김정호의 동국지도(東國地圖)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도 소개한다. 또 동양과 서양의 하늘을 한 곳에 담은 천문도, 혼천전도(渾天全圖), 박규수가 만든 별자리의 위치를 통해 시간과 계절을 측정하던 평혼의(平渾儀) 조선에 전래된 세계지도, 곤여전도(坤輿全圖) 최한기가 저술한 세계의 자연인문지리에 관한 책, 지구전요(地球典要), 이중환이 지은 실학시대의 대표적인 지리지, 택리지(擇里志) 등 교과서에서만 만났던 주요 저서 등이 전시돼 있어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는 정약용, 박지원, 박규수, 최한기 등 실학자 가문에서 흔쾌히 소장품을 기증해줘 실학박물관의 전시물이 더욱 풍족해졌다. 박물관을 다 둘러봤다면 바로 옆에는 다산 정약용의 생가까지 둘러보면 더 좋다. 정약용 선생은 마재로 불리던 이곳에서 태어나 벼슬길에 오르기 전까지 젊은 시절을 보냈으며, 이곳에는 생가와 함께 내외 묘소와 다산기념관, 사당(문도사) 등이 들어서 있다. 다산의 경기 투어(Tour)-다산과의 만남 프로그램 운영 실학박물관은 다산 탄신 250주년을 기념해 다산사상의 대중화를 위한 지역 순회강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다산의 경기 투어(Tour)-다산과의 만남 프로그램은 올 연말까지 총 30회에 걸쳐 진행된다. 강좌는 매회 2시간(강의 1시간 + 맞춤프로그램(옵션) 1시간)으로 진행되며 도내 시군의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복지시설, 초중고등학교 등 20인 이상 단체(기관)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김시업 실학박물관장을 비롯해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조성을 아주대 교수 등 저명한 실학연구자들이 강사로 나서며, 내용은 주로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그의 실학정신, 실학적인 인성 함양, 실학자들의 자녀 교육 및 공부법 등 다산 정약용과 실학 전반에 관한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관람안내 개관시간 :오전 9시~오후 7시 (평일, 주말 및 휴일) 관 람 료 :(2012년 1월 16일부터 관람료 유료화 시행) 성인 4천원/초등학생, 군인, 청소년 2천원 유아(0세~7세 이하)는 무료, 경기도민 50% 할인 위 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27-1 관람 안내 및 문의 : ☎ (031) 579-6000/6001 교통안내 대중교통 이용시 △국철 중앙선 덕소역, 도심역, 팔당역 하차일반버스 2000-1, 2000-2, 8, 167번 환승다산유적지 입구 하차도보 약 30분 △국철 중앙선 운길산역 하차일반버스 56번 환승실학박물관 하차 글 _ 강현숙 기자 mom1209@kyeonggi.com 사진 _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