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가격 4개월째 상승 물가불안 요인

원재료와 중간재 가격이 지난 6월이후 4개월째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향후 물가상승압력이 커져 경제불안 요인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중 가공단계별 물가동향’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선행지표 성격을 갖고 있는 원재료와 중간재 가격이 전월보다 0.8% 상승해 4개월째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 6월에 1.7%, 7월 0.5%, 8월 0.1%가 상승했었다. 이처럼 원재료·중간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것은 원유와 석유제품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으로 향후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원재료 가격은 미국내 원유재고 감소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추가증산 불투명 등으로 원유수입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월보다 1.1%, 전년동기보다는 15%가 각각 올랐다. 중간재는 섬유제품 및 의복이 폴리에스테르 직물 수요부진 등으로 내림세를 보였으나 경유와 나프타, 제트유 등 석유제품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 0.8%가 올랐다. 이와함께 재화부문의 종합적인 인플레이션 측정지표로 이용되는 최종재는 자본재가 전력 및 통신케이블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0.2% 상승한데다 소비재가 등유와 휘발유, 경유 등 석유제품과 채소, 과일류가 크게 오르면서 1.3% 상승, 전체적으로 0.9%가 올랐다. 이에 따라 가공단계별 총지수는 125.7로 전월보다 0.9%,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서도 3.1%가 각각 상승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9월중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전월보다 10.7%나 상승했는데도 원유수입가격이 3.5%상승에 그친 것은 약 1개월간 도입시차 때문으로 이달에는 원유수입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중기청 내년 중기 정보화자금 285억원 지원

중소기업청은 열악한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내년에는 올해보다 11.3배가 늘어난 285억원의 정보화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중기청은 디지털시대에 신속한 대응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 중소기업 e-Biz(인터넷 비지니스)화 기반구축, 지방중소기업 정보화 기반지원, 전자상거래지원, 정보화 인력양성 등 11개 신규사업을 집중 추진키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우선 중소기업의 ERP(전사적자원전산화계획), e-Biz화 컨설팅 지원, 정보화 혁신센터 30개소 지정 등 e-Biz화 기반구축을 위해 200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중소기업이 밀집된 지방산업단지공단의 전자상거래 및 기업경영 정보사이트 구축개발비로 19억3천만원, 중소기업간 업종별 전문 B2B 전자상거래 기반구축을 위해 15억6천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중소기업의 정보화 활용능력 제고를 위해 기업경영시스템을 정보화기반 기업구조로의 전환에 16억7천만원이 지원되며 e-Biz화 인력양성에 15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특히 전국 30만개 중소기업 현황이 수록된 중소기업 현황 D/B 운영과 신용보증재단 통합전산망 구축, 지식창고 시스템 개발 등에 18억7천만원을 지원해 중소벤처기업이 기업경영에 필요한 경영정보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올해 종합토지세 1인당 9만4천600원

올해 종합토지세 부과액은 지난해보다 2.5% 가량 늘어났으나 납세대상자의 증가로 1인당 세부담액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10일 올해 종토세 부과액 규모는 총 1조3천639억원으로 지난해 1조3천303억원보다 2.5%(336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납세대상자는 1천441만명으로 지난해(1천399만명)보다 3%(42만명) 늘어났으며 이에따라 1인당 세부담액은 9만4천600원으로 지난해(9만5천원)보다 0.4% 줄었다. 종토세 규모가 소폭 증가한 것은 올해 개별공시지가 적용률을 지난해 전국지가평균 상승률(2.94%)의 범위내에서 결정토록 한데 따라 각 시·군·구가 적용률을 지난해 29.3%에서 올해 32.2%로 2.9%포인트만 인상했기 때문이라고 행자부는 밝혔다. 종토세 부과액은 지난 97,98년 두해에 걸쳐 전년도에 비해 줄어들다가 올해는 지난해에 이어 2년째 증가세를 보였다. 납세자의 세액별 분포를 보면 5만원이하가 82.8%(1천193만명)로 가장 많았으며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 8.5%(123만명) ▲10만원 초과 100만원 이하 7.9%(114만명)▲100만원 초과 0.8%(11만명) 등으로 나타났다. 종토세는 매년 6월1일 현재의 토지 소유자에게 토지현황에 따라 부과하며 납기는 10월16일부터 10월31일까지다. 납세의무자가 납부기한인 10월31일을 넘겨 11월중에 납부하면 세액의 5%에 해당하는 가산금을 부담해야 하며 이후 1개월을 초과할 때마다 1.2%의 가산금이 부과돼 최고 5년간 77%의 가산금을 물어야 한다./연합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