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원곡중, 시즌 4관왕 ’무적’

안산 원곡중이 제13회 CBS배 전국전국남녀중·고배구대회 여중부에서 3년만에 패권을 탈환, 시즌 4관왕에 등극했다. 원곡중은 12일 수원체육관에서 계속된 대회 6일째 여중부 결승전에서 하은희의 왼쪽 공격과 장신센터 김수지의 공·수에 걸친 활약에 힘입어 문선영이 분전한 광주 송원여중에 2대1로 역전승을 거뒀다. 이로써 원곡중은 춘계중·고연맹전(3월)과 르 메이에르기(4월), 전국종별선수권(6월)에 이어 시즌 4번째 정상에 올라 여중배구 최강의 전력을 과시했다. 첫 세트에서 원곡중은 서브리시브 불안과 이은아, 문선영을 앞세운 송원여중에 21-25로 내줘 불안한 출발을 보였으나 2세트들어 수비력이 살아나고 김수지의 연타와 하은희의 왼쪽 공격이 불을 뿜어 단 한차례도 리드를 빼앗기지 않은 채 25-22로 따내 1대1 동점을 만들었다. 마지막 3세트에서도 원곡중은 김수지가 혼자 8득점을 올리는 활약으로 줄곧 앞서가며 15-11로 마무리, 역전우승을 이끌어냈다. 이어 벌어진 여고부 준결승전에서 수원 한일전산여고는 김은정, 한송이, 최효진 공격트리오의 활약에 힘입어 대구여고를 3대0으로 일축하고 결승에 진출, 세화여고를 꺾은 서문여고와 13일 패권을 다투게 됐다. 한일전산은 첫 세트에서 조직력 난조로 어려운 경기를 펼치다 22-22에서 황연주의 오른쪽 공격성공과 상대의 연속 실책에 편승, 25-23으로 먼저 앞서갔다. 2세트부터 조직력이 살아난 한일전산은 김은정, 황연주의 좌우 강타와 한송이가 중앙에서 맹위를 떨쳐 신다혜가 이끈 대구여고에 25-17, 25-23으로 2,3세트를 잇따라 잡아내 결승에 올랐다. 또 남고부 준결승에서는 지난달 협회장기대회 우승팀인 영생고가 김영준, 하지엽이 진가를 발휘, 벌교상고를 3대0으로 가볍게 제치고 결승에 올라 시즌 2관왕에 성큼 다가섰다. 한편 남중부 준결승에서 화성 송산중은 제천중앙중을 2대0으로 완파, 결승에 올랐으나 안산 본오중은 문일중과 풀세트 접전끝에 1대2로 져 3위에 그쳤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용인초, 단체전 ’황금 샅바’

용인초가 제3회 충북인삼배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초등부 정상에 올랐다. 용인초는 12일 증평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초등부 단체 결승전에서 박승완, 강주승, 윤승민, 장진호가 승리를 거둬 대구 대동초에 4대1로 완승을 거두고 패권을 차지했다. 수원 우만초는 준결승전에서 대동초에 2대4로 져 3위에 머물렀다. 중등부 단체전 결승에서는 인천 신흥중이 홈 모래판의 증평중과 결승에서 맞붙어 문지화, 김준섭, 김환길, 김용만의 활약으로 4대2로 승리를 거두고 우승했고, 광주중은 준결승전에서 증평중에 3대4로 져 3위에 입상했다. 한편 초등부 경장급의 한강희(우만초)와 용장급 서재현(성남제1초)은 각각 결승전에서 신재현(대동초)과 송재호(둔원초)를 밀어치기, 배지기로 눌러 체급 우승을 차지했다. 장사급 결승전에서는 김명재(이천 설봉초)가 윤창원(우만초)을 밀어치기로 뉘고 우승했다. 이밖에 중등부 소장급 남헌태(용인 백암중)와 용장급 이정준(안산 관산중)은 각각 결승전에서 정재욱(무룡중)과 오광수(대구 영신중)에 들배지기로 져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 초등부 경장급 최영진, 김정홍(이상 양지초)과 소장급 이승우(성남제1초), 청장급 장진호(용인초)는 나란히 3위에 그쳤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K-리그 월드컵 이전으로 회귀중’

월드컵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프로축구가 최근 현저한 관중 감소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 11일 주중경기로 치러진 2002 삼성 파브 K리그 5경기에서 입장한 관중수는 모두 5만4천448명으로 경기장 당 평균 1만889명. 지난달 28일 5경기 5만9천185명, 지난 4일 5만7천243명을 기록한데 이어 최근 세차례 주중경기에서 연속으로 5만명대(5경기 기준) 관중수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관중수는 계속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특히 5만명 대로 접어들기 직전에 치른 주중경기인 지난 7월31일 5경기에서 12만7천544명으로 경기당 평균 2만5천508명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40여일 사이에 관중수가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진 셈. 지난해 같은 시기의 주중경기인 9월5일의 정규리그 5경기의 관중수가 5만3천325명이었음을 감안하면 벌써부터 프로축구가 예전의 그라운드 풍경으로 돌아가는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생기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관중 감소에는 방학이 끝나면서 학생 관중이 줄어든 것을 포함해 몇가지 외부적인 요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월드컵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경기장을 찾게 된 관중들을 고정 관중으로 만들지 못한 각 구단과 프로연맹의 책임이 크다는 지적이 많다. 이와 함께 해외에 진출한 송종국(네덜란드), 이을용(터키)의 공백과 퇴장에 따른 출장정지와 해외이적 문제로 ‘속병’을 앓고 있는 김남일(전남)의 결장, 아시안게임 대표들의 조기차출 등에 따른 ‘스타부재’도 한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성남 일화가 9월 들어 본격적인 독주체제를 갖추면서 치열한 선두다툼이 주는 아기자기한 재미가 감소했다는 점도 관중감소의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현재 각 팀들은 관중유치를 위한 홍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역부족이어서 경기의 질적인 향상과 심판 자질함양, 스타육성 등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K-리그 월드컵 이전으로 회귀중’

월드컵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프로축구가 최근 현저한 관중 감소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 11일 주중경기로 치러진 2002 삼성 파브 K리그 5경기에서 입장한 관중수는 모두 5만4천448명으로 경기장 당 평균 1만889명. 지난달 28일 5경기 5만9천185명, 지난 4일 5만7천243명을 기록한데 이어 최근 세차례 주중경기에서 연속으로 5만명대(5경기 기준) 관중수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관중수는 계속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특히 5만명 대로 접어들기 직전에 치른 주중경기인 지난 7월31일 5경기에서 12만7천544명으로 경기당 평균 2만5천508명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40여일 사이에 관중수가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진 셈. 지난해 같은 시기의 주중경기인 9월5일의 정규리그 5경기의 관중수가 5만3천325명이었음을 감안하면 벌써부터 프로축구가 예전의 그라운드 풍경으로 돌아가는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생기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관중 감소에는 방학이 끝나면서 학생 관중이 줄어든 것을 포함해 몇가지 외부적인 요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월드컵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경기장을 찾게 된 관중들을 고정 관중으로 만들지 못한 각 구단과 프로연맹의 책임이 크다는 지적이 많다. 이와 함께 해외에 진출한 송종국(네덜란드), 이을용(터키)의 공백과 퇴장에 따른 출장정지와 해외이적 문제로 ‘속병’을 앓고 있는 김남일(전남)의 결장, 아시안게임 대표들의 조기차출 등에 따른 ‘스타부재’도 한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성남 일화가 9월 들어 본격적인 독주체제를 갖추면서 치열한 선두다툼이 주는 아기자기한 재미가 감소했다는 점도 관중감소의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현재 각 팀들은 관중유치를 위한 홍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역부족이어서 경기의 질적인 향상과 심판 자질함양, 스타육성 등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용인초, 단체전 ’황금 샅바’

용인초가 제3회 충북인삼배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초등부 정상에 올랐다. 용인초는 12일 증평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초등부 단체 결승전에서 박승완, 강주승, 윤승민, 장진호가 승리를 거둬 대구 대동초에 4대1로 완승을 거두고 패권을 차지했다. 수원 우만초는 준결승전에서 대동초에 2대4로 져 3위에 머물렀다. 중등부 단체전 결승에서는 인천 신흥중이 홈 모래판의 증평중과 결승에서 맞붙어 문지화, 김준섭, 김환길, 김용만의 활약으로 4대2로 승리를 거두고 우승했고, 광주중은 준결승전에서 증평중에 3대4로 져 3위에 입상했다. 한편 초등부 경장급의 한강희(우만초)와 용장급 서재현(성남제1초)은 각각 결승전에서 신재현(대동초)과 송재호(둔원초)를 밀어치기, 배지기로 눌러 체급 우승을 차지했다. 장사급 결승전에서는 김명재(이천 설봉초)가 윤창원(우만초)을 밀어치기로 뉘고 우승했다. 이밖에 중등부 소장급 남헌태(용인 백암중)와 용장급 이정준(안산 관산중)은 각각 결승전에서 정재욱(무룡중)과 오광수(대구 영신중)에 들배지기로 져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 초등부 경장급 최영진, 김정홍(이상 양지초)과 소장급 이승우(성남제1초), 청장급 장진호(용인초)는 나란히 3위에 그쳤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