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스포츠 이것만은 알고 즐깁시다

허준혁 수원 이춘택병원 진료팀장

2018년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로 평창이 선정되면서 그 동안은 약간은 소외돼왔던 겨울철 스포츠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여러 가지 겨울철 스포츠가 있지만 역시 겨울철 스포츠의 백미는 스키, 스노보드 그리고 스케이트가 아닐까 한다.

 

겨울철 스포츠로 인한 신체의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급격한 속도와 격한 동작으로 이어지는 스키나 스노보드의 특성상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부상과 춥고 건조한 날씨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각종 호흡기 및 내부 질환 등이다.

 

그러나 겨울철 스포츠의 가장 큰 문제는 누가 뭐래도 부상이다. 최근에는 스포츠 장비 및 보호장구의 발전으로 손상의 형태 및 부위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스키의 경우 하체 관련 부상이 많으며, 스노보드는 상체 관련 부상, 스케이트는 몸통 관련 부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전통적으로 스키의 경우 발목 골절이 많았으나 최근 스키 부츠가 튼튼해지면서 무릎의 인대 손상이나 스키 폴에 의한 손의 인대 파열 환자가 많다.

 

또한 추돌 사고가 많으므로 갈비뼈 골절이나 뇌진탕 등도 많이 발생한다. 스노보드의 경우 하체의 안정성으로 인해 하체 부상 보다는 손목이나 어깨 관절의 골절이나 탈구 등 상체 관련 부상이 흔하게 관찰된다. 넘어지면서 뇌진탕 등의 머리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은 스키보다 높지만 스키 타는 사람들 보다는 헬멧의 보급률이 높아 두부 손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오히려 적다.

 

그럼 겨울 스포츠를 잘 즐기기 위해서는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

 

첫째, 본인이 참가하는 운동이 어떻게 위험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어디를 많이 다치며, 언제 많이 다칠 수 있는지 알고 있어야 이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다.

 

둘째, 본인의 실력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본인의 스키나 스노보드 실력에 맞지 않는 슬로프를 선택하는 경우 바로 자신 뿐만 아니라 타인을 위험에 빠지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본인의 실력에 맞는 장비나 슬로프를 선택함으로써 본인과 다른 사람이 위험에 빠지거나 부상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피할 수 있다.

 

셋째, 본인의 신체 상태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춥고 건조한 상태에 장시간 노출되며, 매우 급격한 속도에서 순간적인 동작이 요구되는 스포츠이니만큼, 체력의 한계 및 본인이 적절하게 활동 할 수 있는 범위를 파악하고 있어야 운동도 적절하게 즐기고 언제 쉬고, 언제 그만 두어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는 지 본인 스스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넷째, 주위 환경을 파악해야 한다. 겨울에는 급격하게 날씨가 변할 수 있다. 갑자기 눈보라가 치거나 기온이 하강해 신체의 상태를 저하시킬 수 있다. 겨울철 스포츠는 대개 실외에서 개인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항상 연락 가능하거나 서로의 동선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슬로프에서 탈선해도 주위에서 목격하지 못하는 경우 자칫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다섯째, 적절한 장구를 갖추어야 합니다. 헬멧 등 보호장구의 착용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도 없다. 부상이 빈번한 운동을 하면서 스스로를 보호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를 자해하는 일이나 마찬가지다. 적절한 장비 및 보호장구는 스포츠를 즐겁게 해 주고 부상으로부터 본인과 타인을 지켜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