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건설 업체들, 현실에 맞지 않는 품셈 산정으로 애로

 본격적인 해빙기와 함께 각종 건설 경기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건설업체들이 건설기술연구원이 정한 건설품셈이 현실에 맞지 않아 공사 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0일 군과 건설업체들에 따르면 최근 지역 내 각종 건설업체들이 올해 소규모 관급공사를 맡아 본격적인 시공에 돌입했으나 지역실정이나 공사 규모에 맞지 않는 품셈 산정으로 시공 후 적자경영에 직면하고 있어 현장여건과 지역실정에 맞는 설계와 공사비를 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욱 소규모 관급공사 대부분이 산간 오지지역으로 현장 진입로가 없어 임시도로를 개설해 장비와 각종 건설자재가 운반 되어야하나 임시도로 개설을 위한 별도 예산이 수립되지 않아 현장사업비로 임시도로 공사를 하고나면 적자를 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함께 최근 포크레인 등 각종 건설장비 임대료를 비롯 자재비, 인건비 상승으로 예산에 맞는 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소규모 건설공사는 실적단가를 적용하지 말고 현장여건과 지역실정에 맞는 공사비를 편성 설계를 해야한다는 여론이 높다.

 

 실제로 지난해 철근 1톤당 가격이 75만원에서 87만원으로 15%이상  인상되었으며  포크레인 6w 1일사용 임대료가 지난2000년10시간 기준 50만원에서 올해에는 8시간 기준 60만원으로 상승되어 20%이상 인상되고 인건비의 경우 지난해 보통인부1일 8시간 기준 8만원에서 올해에는 10만원으로 20%인상되는 등 각종자재 및 장비임대료와 인건비가 대폭 인상되었으나 발주관서의 예산절감에 따른 지역실정에 맞지 않는 맞춤설계 품셈으로 건설업체의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

 

 가평군 전문건설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가평지역 수해로 인한 수해복구 사업으로 소규모 관급공사가 발주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사현장이 산간 오지지역으로 포크레인을 비롯 레미콘 차량 등 대형장비 통행이 어려워 임시도로 개설을 해야 하나 임시도로개설을 위한 예산이 없어 시공의 어려움과 함께 장비가 투입되지 못하는 공사구간의 터 파기공사는 인력 터 파기가 불가피 하는 등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 며 “공정계획에 의한 공기를 맞추기 위해 야간작업을 할 경우 25%이상의 품을 계상하여야 하고  도로공사의 지세별 할증 적용 및 운반거리에 따른 별도 운반비 계상과 장비투입이 어려워 인력으로 터 파기를 해야할 경우 50%이상의 품을 별도 계상해야하는 등 지역과 현장 실정에 맞는 설계와 품의 할증을 최대한 반영해야한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chkh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