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은 수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미 수많은 언론 매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해 봤을 것이다. 그러한 이유는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요통으로 고생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수의 학술적 연구에서도 전 인구의 약 80% 정도가 일생 중 적어도 한 번은 요통으로 고생하는 것을 나타나 있다.
요통은 사실 두발로 걷는 인류의 숙명이다. 허리는 네 발로 걷기에 적합하게 진화된 구조인데 이를 인류가 설계된 용도에 어긋나게 사용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그 근본원인이다. 그렇다고 다시 네발로 걷을 수도 없는 노릇이지만.
여기서는 활동적인 청장년층의 요통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원인은 크게는 척추 자체의 문제와 그 주변 연부조직 이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척추 자체 문제 중 가장 흔한 경우가 바로 디스크로 알려져 있는 추간판 이상이다. 추간판은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물렁뼈로서 주로 뼈 사이 완충 역할을 한다. 이 추간판 이상으로 인한 요통은 청장년층 즉 활동이 왕성한 연령대에서 발생하고 특히 30대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있다. 추간판 이상으로 인한 골격의 불균형이나 직접적인 추간판 주위의 신경 압박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가장 흔한 경우는 허리 주변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요통이다. 교통사고나 과격한 허리운동, 일상 생활에서 잘못된 위치에서 허리를 무리하게 쓸 때 생길 수 있는데, 과로는 연부조직의 긴장을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근육의 경련을 일으켜 통증을 일으킨다. 일상생활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서있거나 앉아 있을 때, 굽히거나 물건을 들어 올릴 때 허리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진다. 준비운동 없이 갑자기 운동할 때도 염좌나 좌상을 입을 수 있다.
치료는 급성기에는 두 가지 경우가 비슷하다. 우선은 안정이 가장 중요하다. 어떤 자세든 본인이 불편하지 않는 자세로 안정을 취하면서 찜질을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외상이 명확한 경우는 냉찜질이 좋고 특별한 외상이 없는 경우라면 온찜질이 좋다. 1~2일 정도 길게는 일주일 정도 안정을 취하고도 통증이 줄지 않거나 처음부터 너무 통증이 심하다면 전문적 상담과 치료가 필요하다.
요통 치료도 단계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일반적인 치료에도 통증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경차단요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치료를 하는 동안에는 한 가지 동작은 30분 이상 하지 않도록 하며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몸을 구부리고 꼬는 행동은 삼가해야 한다. 또한 통증이 감소하기 시작해도 최소한 1~2주 정도는 통증을 유발하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이 후 점차적으로 활동량을 늘리려 노력해야 한다.
김주영 이춘택병원 정형1과 진료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