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관광 행락철을 맞아 가평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평역을 비롯 상천, 청평역 등 전철을 이용하는 주민 및 관광객들의 편의시설을 위한 역세권개발이 늦어져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일 군과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2월 경춘선 복선 전철개통과 함께 기존의 역을 폐지하고 시내권역에서 멀리 떨어진 외각 지역에 전철역이 신축되었으나 연계도로는 물론 역세권 주변개발이 되어있지 않아 전철을 이용하는 주민 및 관광객들의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가평역의 경우 시내권역에서 역까지 거리가 2㎞이상 떨어져 도보로 20분 이상 소요됨에 따라 택시나 버스 등 자동차를 이용해야 하는가 하면 전철역 앞은 역세권 개발이 늦어져 음식점이나 상가가 전무한 상태로 주민 및 관광객들의 불편이 가증되고 있다.
특히 시내권역에서 도보로 전철역을 이용하는 도시계획도로가 신설되고 있으나 계획된 도로부지의 보상협의가 늦어져 계획된 도로 공사가 지연되는가 하면 전철역 주변 역세권 개발시 도시계획 도로개설에 따른 지가보상의 예산부족 등으로 역세권개발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은 상천과 청평 역세권도 마찬가지로 전철역 이전과 함께 역세권 개발이 동시에 이뤄져야 되는데 개발을 위한 예산확보가 어려워 가평군에서는 개발 계획만 수립해놓고 공사시행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주민 김모씨(48 가평읍 읍내리)는 “지난 2010년 경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전철을 이용해 가평을 찾는 관광객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용객을 위한 편의시설은 물론 시내에서 역까지 도로 이용이 어려워 택시 및 대중교통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많다”며“주민들을 위해 신속한 도로개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관광객 강모씨(53 서울시 동대문구)는“지난14일 주말과 휴일을 이용 가족과 함께 가평역에 도착했으나 역 앞에 음식점이나 상가가 하나도 없어 택시를 타고 가평시내까지 나가 점심식사를 했다”며“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신속한 역세권 개발이 필요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군관계자는“전철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어려움은 알고 있으나 경춘선 전철개통에 따른 역세권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각종도로 및 편의시설 설치를 계획하고 있으나 도로개설을 위한 편입용지 지주들과 보상협의가 늦어질 뿐더러, 역세권 개발을 위한 많은 예산 확보가 어려운 형편이라”며“예산이 확보되는 데로 역세권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chkh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