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NLL 공방보다 평화대책 내놔야”

서해5도 주민들 남북 긴장감만 고조 불만
일부 주민 공동어로 수역 지정 협의 희망도

인천 서해 5도 주민들은 정치권이 북방한계선(NLL) 정상회담 대화록을 놓고 벌이는 정쟁이 남북 간 긴장감만 고조시켜 주민 피해만 가중시킬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서해 5도 주민들은 25일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무슨 이유로 ‘서해 NLL’ 발언을 했는지 알 수 없지만 정치권의 대화록 공개를 둘러싼 정쟁은 서해 5도 평화와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어업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받지나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연평도 주민 김모씨(50)는 “노 전 대통령의 발언 진위를 떠나 하루가 다르게 변덕을 부리는 북한 앞에서 NLL 문제를 꺼낸다는 자체가 긴장 악화로 이어질 위험을 충분히 안고 있다”며 “남북 관계 긴장이 고조 되면 어민들의 어업 활동만 지장을 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대청도 주민 이모씨(49)는 “국가 기밀문서인 NLL 정상 대화록을 놓고 벌이는 정치권 싸움이 남북 관계와 서해 5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겠느냐”며 “바다만 바라보고 사는 서해 5도 주민들의 심정을 조금이나마 헤아린다면 (정치권이) 정확한 문제점을 직시 해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백령도 주민 정모씨(43)도 “포탄을 맞으면서도 서해 5도를 떠나지 못하는 주민들과 젊은 군인의 존재를 의식한다면 NLL 문제를 정치권의 정쟁의 도구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정치권이 정쟁에 쏟는 열정의 절반만이라도 서해 5도 문제 해결에 보태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치권이 이번 NLL 대화록 공개를 서해 5도 문제를 해결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반응도 나왔다.

백령도 주민 이모씨(50)는 “현재 어민들은 황금어장인 NLL 지역 안에는 커녕 근처에도 접근하지 못해 심각한 어획량 부족에 시달리고, NLL 지역은 중국 어선들의 차지가 되고 있다”며 “이번 대화록이 쟁점이 된 김에 공동어로 수역 지정 문제가 협의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연평도에서 꽃게잡이를 하는 박모씨(44)는 “개인적으로 공동어로구역이 현실화된다면 어장도 늘고 좋지만, 나중에 개성공단처럼 되지 말라는 법 없지 않느냐”며 “정치권이 NLL 공방만 할 것이 아니라 주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안보를 챙기고 평화대책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일부 주민은 해주지역과 주변해역 공동어로 수역 지정, 서해 5도 일대 평화 수역 설정 등 지난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평화협력지대 구상 내용에 동의하는 반응도 있었지만, 모두 안보를 전제로 내세웠다.

류제홍기자 jhyou@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