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국내 최초 남극에서 돌맹이 발견…알고보니 '달 운석'

'남극에서 발견한 돌맹이'가 화제다.

지난 14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소속 '남극운석 탐사대'는 올 1월3일 남극대륙 장보고기지 건설지에서 남쪽으로 350km 떨어진 지점에서 달 운석(lunar meteorite)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 이태리 공동탐사 중 발견된 이 운석은 양측의 양해각서에 의해 절반은 이태리가 소유하고 있다. 이 운석의 이름은 'DEW 12007'로 운석 발견 지점인 마운트 드윗(Mt. Dewitt)의 이름을 땄다.

극지연구소가 달 운석을 발견하기는 지난 2006년부터 남극에서 운석을 회수해 연구를 시작한 지 7년 만의 일이다.

현재 국제운석학회에 등록된 달 운석은 모두 160개. 전체 4만6천0여개 운석의 일부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 운석은 지난 10월 극지연구소에 도착해 박편을 통한 현미경 관찰, 전자현미분석(EPMA) 등을 거친 이후 '달 운석'이라는 사실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남극에서 발견한 돌맹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운석이라니 정말 신기하다", "남극에서 발견한 돌맹이 신기하네", "우리나라가 발견했다니 더 뿌듯"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