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3일째를 맞은 18일 실종자 수색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구조요원들이 선체 내 진입에 성공하면서 공기주입도 시작됐으며 선체를 인양하기 위한 대형 크레인도 속속 도착하고 있다.
그러나 실종자들의 무사귀환을 애타게 기다리는 가족과 국민의 바람에도 안타까운 시신 인양 소식만 이어지면서 전국이 슬픔에 빠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이날 오후 1시 현재 전체 승선자 475명 가운데 28명이 숨지고 268명이 실종 상태며 179명이 구조됐다고 밝혔다.
전날 오후 8시 10번째 사망자가 발견된 이후 하루도 되지 않아 무려 18명의 실종자가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이날 오전까지 수십 차례 선체 진입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잠수요원 등 구조대원들은 오전 10시 5분 첫 진입에 성공했다.
이어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식당까지 통로를 확보한 가운데 현재 생존자 확인 작업을 하고 있다.
오전 10시 50분부터는 선체 안으로 공기주입을 시작했다. 모두 물속에 잠긴 선체가 주입한 공기로 다소 떠오르면 수색작업에 더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선체 인양을 위해 인근에 도착했거나 도착 예정인 4대의 대형 해상 크레인을 이용해 선체 일부를 들어 올려 구조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고해역에는 크레인 외에 경비함정 108척, 민간어선과 관공선 61척, 잠수요원 등 구조대원 535명이 투입됐다고 해경은 밝혔다.
높은 파도 등 전날 최악의 상태를 보였던 해상 상황도 어느 정도 좋아져 수색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오전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세월호 선장이 침몰전 3등 항해사에게 조타지휘를 맡겼다”고 말했다. 선장이 자리를 떠나 조타실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수사본부는 “침몰 당시 선장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진술이 엇갈리고 있어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는 항로 변경 지점(‘변침점’)에서의 급격한 변침(變針) 여부에 대해선 “사고 해역이 선박 변침점인 것은 맞다”며 “매우 급한 선회였는지 통상적인 선회였는지에 대해서는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 세월호 침몰 사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