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 수용거부… 지하수 사용 주민 저지 총력투쟁 “STOP” 시공사, 아무런 문제없다 “GO”
민자로 추진중인 제2영동고속도로 광주휴게소의 용수사용 갈등(본보 25일자 10면)과 관련, 광주시가 상수도 설치비용 공동부담을 제안했으나 시행사측이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시와 협성건설, 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월 시행사인 제이영동고속도로(주)측에 지하수고갈 해소대책을 요구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상수도시설에 따른 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하는 협의를 제안했다.
상수도시설은 곤지암읍 유사2리부터 삼합리까지 약 4.2㎞ 구간에 대한 관로연결과 2개소의 가압장을 설치하는 것으로 사업비 25억원을 반씩 공동부담해 상수도를 설치하자는 것이다.
당초 시는 오는 2025년 유사리와 삼합리에 상수도를 설치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나 민원 발생에 따라 긴급 자금을 투입, 민원을 해소하고 국책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을 도모하겠다는 의도였다.
그러나 시의 이 같은 제안에도 불구, 해당 시행사는 상수도 설치 비용이 총 사업비에 반영되지 않아 현 공정대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거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예산 부족을 이유로 들고 있으나 사업과 관련 없는 곳에 민간사업자가 예산을 투입할 이유가 없다는 속내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들은 “시행사가 주민들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도로를 개설하며 진동과 먼지로 피해를 준 데 이어 생계와 직결되는 지하수마저 빼앗아가는 것을 두고만 보지는 않을 것이다”며 사업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주민들은 이어 “당초 사업자는 각각의 휴게소에 130t씩, 총 260t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을 세웠으나 민원 발생 이후 70t으로 줄여 신고하는 편법을 쓰려 한다”며 “시에 지하수개발 신고 거부를 요구하는 등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해 지하수 개발을 저지할 것이다”고 반발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시공사 관계자는 “지난 2010년 사업 절차를 진행하며 경기도와 광주시에 협의했고 휴게소 용수를 지하수로 사용해도 된다는 판단을 받았다”며 “용량 감량은 화장실 등에서 사용하는 물의 재활용 방법으로 한 것이지 편법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편 주민들은 31일까지 시와 시행사 등의 협의 결과를 지켜본 뒤 본격 투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