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920여건 업무 처리 여권 발급까지 몰려 불편 가중 市 “예산문제 등 설치 어려워”
안양시가 경기도내 인구 50만 이상 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 없이 종합민원실 내에서 차량민원업무를 처리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11일 시에 따르면 시는 민원실 내 8개 창구를 운영하며 차량 신규 및 말소 등록, 명의 의전 등 하루 평균 920여건, 연간 27만6천건의 차량 관련 민원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7년 2월 시 민원실이 여권업무대행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여권 발급을 위해 관내 시민 뿐만 아니라 의왕, 군포, 과천 등 인근 시 주민들까지 종합민원실을 이용하면서 연일 북새통이다.
인구 50만 이상의 타 지자체의 경우 차량등록대수가 통상 15만대 이상을 초과하면 차량등록사업소를 설치하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수원, 용인 등 도내 50만 이상 대도시 지자체(9곳)와 이에 근접한 타 시ㆍ군에서는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를 설치, 차량과 관련한 업무를 도맡고 있다.
하지만 시는 현재 20만대 이상(20만31대)의 차량이 등록됐음에도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 설치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일부 시민들만 이용하는 민원실 옆 테니스장을 차량등록사업소로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 테니스장(4개면, 2천902㎡)은 지난 1999년 10월 시가 시 테니스 협회에 위탁해 운영중이며 1일 평균 40여명의 시민들이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민원인 K씨(48ㆍ여)는 “타 시ㆍ군과 달리 유독 안양시만 차량등록사업소가 없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시청 내 테니스 코트 등 별도의 부지를 선정해 수십만이 이용하는 차량 등록 민원업무를 전담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많은 이들이 방문민원 대신 전자민원을 이용하고 있어 현재로선 큰 문제는 없다”며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 설치는 부지 확보나 예산 문제 등으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안양=한상근ㆍ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