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예술활동 환경 조성 힘쓰고
협회간 기회균등원칙 준수 소통·화합 견인
상조회 결성 회원간 돈독한 우애 다질 것
회원 간, 협회 간 불협화음으로 삐걱거렸던 시흥예총이 낡은 틀을 청산하고 시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단체로 거듭나고 있다. 이렇게 되기까지 최찬희 회장의 역할이 컸다.
최 회장은 취임한 지 6개월여밖에 안됐지만, 시흥예총이 주관하는 모든 행사에 협회 간 기회균등의 원칙을 정립하고 회원 간 적극적인 소통으로 화합을 이끌어냈다.
그는 취임 당시 “예술에 대한 열정과 기품이 살아 숨 쉬는 시흥예총을 만들겠다”며 “소신과 원칙 속에 자유로운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여타의 이유로 관심을 넘은 간섭으로부터 예술인들이 자유롭도록 바람막이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22일 시흥시청에서 최 회장을 만났다. 보통 예술가처럼 깐깐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인터뷰가 시작되면서 그런 선입견이 깨졌다. 시흥예총 회장이라기보다는 자상한 이웃집 아저씨 같았다. 하지만, 시흥의 예술발전에 대한 포부를 밝힐 때는 특유의 열정과 카리스마가 물씬 풍겼다.
그가 각종 불협화음으로 삐걱대던 시흥예총의 회장직에 출마한 동기가 궁금해졌다.
“시흥의 예술 꿈나무를 발굴·육성하는 것”이라고 말문을 연 최 회장은 “이를 위해 시흥예총과 회원단체가 유명단체의 초청공연 때 각 장르를 전공하는 예술 꿈나무들의 협연을 통해 그 꿈을 이루는데 도움을 주고 싶었으며, 지역 내 예술분야 전공학생을 파악해 장르별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래야 시흥의 예술이 기존 예술인에 국한되지 않고, 시흥의 예술과 문화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해외관광객을 대상으로 가장 한국적인 체험프로그램을 접목한 예술공연과 생활예술인(동아리)의 끼 발산을 위한 공간(중장기 계획) 마련 계획도 갖고 있다.
“시흥시는 문화예술회관은 고사하고 전문공연을 할 수 있는 예술인의 마당이 전무한 실정으로, 경기도 내에서 문화예술 SOC를 따질 때는 10위다, 그러나 평가항목에서 도서관을 빼면 꼴찌다”며 “시흥시의 문화예술 SOC는 풍요 속의 빈곤 그 자체”라고 꼬집었다.
그는 회장에 취임한 이후 회원 간 화합을 강조해 왔다. 회장선거에서 대의원 35명이 투표한 결과 17대18, 1표 차로 당선되면서 회원 간 단합이 절실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인터뷰 중에도 “시흥예총이 주관하는 모든 행사에 치우침이 없는 협회 간 기회균등의 원칙을 준수하는 예총이 되겠다”는 취임 당시의 포부를 거듭 밝혔다. 화합의 한 방법으로 ‘시흥예총 상조회’를 결성해 회원 간 상부상조를 통한 화합과 우애를 돈독히 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예술회관이나 전문공연장은 가정으로 보면 서재와 같아서 지속적인 문화예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그런 풍토에서 자란 꿈나무 중 세계를 흔드는 예술인이 한 명이라도 탄생한다면 그것으로 가치가 있는 일”이라며 문화예술의 적극적인 지원과 전문 공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흥=이성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